2024년 5월 2일 목요일
경청하는 것은, 세상이 바뀌는 일이다 / 대화의 신
2024년 2월 21일 수요일
지혜를 경청하다, 탐욕을 버리라고 조언을 받다.
누군가와 대화한다는 것은 참으로 신비로운 일입니다. 북클럽을 하면서 수 많은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었고, 그래서 대화라는 행위 자체가 더 놀랍습니다. 우리는 모두 흩어진 자아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대화를 통해서 하나가 됩니다. 인격과 인격이 만나고 영적인 연합과 하늘의 기쁨을 경험합니다.
모든 대화가 즐거운 것은 아닙니다. 어떤 대화에서는 견디기 어려운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교만한 사람의 말은 마음을 고통스럽게 합니다. 자신의 탐욕을, 합리성과 신앙으로 교묘히 감추는 이들 앞에서는 때론 말을 잃게 됩니다. 그 자리를 피하고 싶을 때가 종종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분들은 참으로 깊은 지혜를 가졌습니다. 지혜는 쉽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 앞에서의 진실함, 최선을 다하는 삶, 그리고 그 모든 과정에서의 연단이 지혜를 만들어 냅니다.
특히 어르신들 중에 그런 분들이 있습니다. 삶의 깊은 연륜 속에서 본질을 꽤뚫어보는 혜안을 가진 분들입니다. 말의 한마디 한마디가 마음을 울리고 제 삶을 돌아보게 하는 그런 분들입니다.
제가 정말 좋아하는 한분과 식사를 하였습니다. 세상 사람들의 관점에서는 별 볼일 없어 보이는 분이지만, 그러나 저는 깊이 존경하는 분입니다. 자주 오는 기회가 아니었기 때문에, 식사 중에 이민 교회에 대해서 또 목회에 대해서 여쭤보려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저는 정말 좋아하는 분 앞에서는 오히려 경청하는 사람으로 바뀝니다. 굳이 많은 말을 제가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저 듣는 것만으로도 행복하기 때문입니다. 부탁드리지 않았는데 자연스럽게 제가 필요한 부분을 이야기해주셨습니다. 교회의 어려움이, 목회자의 탐욕 때문에 찾아온다고 분명히 이야기해주셨습니다. 돈을 밝히는 목사, 그 사람 때문에 교회가 망한다는 것입니다.
평범하게 머무를 수 있는 교회였지만, 담임 목회자의 청렴함으로 인해서 교회가 크게 부흥한 것도 알려주셨습니다. 심지어 외부 강사로 나갔다가 받은 모든 사례조차 교회에 헌금했을 때에, 오히려 성도들이 더 목회자를 사랑하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정말 인상적이었습니다.
또 하나의 예도 이야기해주셨습니다. 청렴하게 평생을 목회하다가, 은퇴 즈음에 되어서 탐욕 때문에 전체 삶을 완전히 망친 목사님의 이야기였습니다. 어떤 목사님은 돈을 밝힌다는 것을 사람들이 이야기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려주었습니다.
어떤 목사님이 사례 문제로 장로님들과 마찰을 일으켜서, 교회에 분란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들었습니다. 그렇게 돈에 집착하던 어떤 목사님은, 달변가였음에도 성탄절과 부활절조차 예수님에 대한 설교는 전혀 하지 않았다는 것에 크게 실망하셨다는 것도 들었습니다.
요즘에 방향을 잃었다는 느낌 속에서 쉽지 않았는데, 하나님께서 저에게 선명한 길을 보여주셨습니다. 탐욕을 버리는 것, 그리고 본질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이 두가지는 누구나 이야기하는 것이지만, 가장 어려운 길입니다.
저라도 예외는 아닙니다. 저도 얼마든지 그럴 수 있습니다. 나의 욕심을 위해서 교묘하게 교회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목회자가 보일 수 있는 가장 비참한 모습입니다. 지금까지 저의 사역과 제 자신을 크게 돌아보면서, 그저 하나님께서 맡기신 역할을 따라 충실하게 사역에 매진할 것을 결심했습니다.
한시간 남짓의 식사 시간이 참 행복했습니다. 지혜자와 함께 거닐 수 있다는 것이 좋았습니다. 귀한 시간을 허락해주신 하나님께 감사했습니다. 그저 주님이 주신 지혜를 따라 확신 가운데 또 한걸음 걸어가기 원합니다.
2022년 9월 19일 월요일
“목사님은 어떻게 지내세요?” - 일상의 대화를 잃어버린 정목사
오랜 만에 반가운 분을 만났습니다. “목사님은 어떻게 지내고 계세요?” 2초 정도 대답을 망설였습니다. 마음에 많은 생각이 있지만 풀어서 이야기하기가 어려웠습니다. “잘 지내고 있다”는 의례적인 하지만 최선의 대답을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목회자를 한마디로 뭐라고 정의할 수 있을까요? 사람들마다 다를 것입니다. 하지만 누군가 저에게 물어본다면 저는 “안부를 묻는 사람”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전도사로 목회를 처음 시작할 때 부터 그랬습니다. 교회에 잘 나오시는 분이든 그렇지 못하던 분이든, 만나면 그리고 전화를 하면 안부를 묻습니다. 그리고 거기에서부터 대화를 풀어갑니다.
가장 어려운 경우는, “단답형”으로 끝나는 경우입니다. 아무리 제가 대화를 더 나누고 싶어도, 그냥 "별일 없다" 라고 말하는 분에게 더 가가가기는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사실 속은 상합니다. 짝사랑처럼 느껴질 때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냥 때가 되지 않았다고 생각하지만 돌이키는 마음은 무겁습니다. 많이 노력하지만 단답형의 대답을 다섯번 정도 이상을 들으면 현실적으로 포기하게 됩니다. 다른 곳을 향해야 할 때입니다. 여전히 저에게는 보살펴야할 분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수월한 혹은 행복한 경우는, 본인의 이야기를 조금이라도 하시는 경우입니다. 뭔가 대단한 이야기가 아니더라도, 본인의 현재의 상황을 말씀해주시는 경우입니다. 목회자는 “안부를 물을 뿐 아니라 그것을 듣는 사람”입니다. 주의 깊게 듣고, 최선을 다해서 성의 있게 저 역시 반응하려고 노력합니다. 저의 가족의 일이라고 생각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런데 저 역시, 조금은 당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본인의 이야기를 하신 이후에 이어서 “목사님은 어떻게 지내세요?” 라고 성도님께서 묻는 경우입니다. 평균적인 횟수로 보면 성도님에게 스무번 안부를 물을 때에 한번 정도 어떤 분이 이런 질문을 하십니다.
부끄러움에 얼굴이 약간 붉어집니다. 사실 마음으로는 얼마나 감사한지 모르겠습니다. 목회를 하면서 현실적으로 접어야 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목회자도 누군가의 관심이 필요한 사람이다"라는 것을 잊고 살려고 많이 노력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군가가 저에게 관심을 가져주시고 또 안부를 물어보실 때에,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감사함을 느낍니다.
왜 제가 당황하는가를 생각해 보았습니다. 한참을 고민해서 답을 찾았습니다. 왜냐하면, 저의 마음에 있는 “진짜 이야기”를 누군가에게 해 본 경험이 혹은 기회가 너무 적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아내에게는 많은 이야기를 나눕니다. 그런데 저의 삶의 이야기의 일부분을 누군가에게 이야기 해본적이 별로 없습니다.
사실 저의 이야기를 말하는 법을 거의 잊고 살아온 듯합니다. 저의 삶의 전체 맥락이, 주로 누군가에게 안부를 묻는 사람이지 안부를 묻는 대상이 되지는 않았기 때문입니다. 사용하지 않는 부분이라 퇴화된 듯한 느낌마저 듭니다. 심지어 요즘에는, "무슨 말을 해야할지 모르겠다 "라는 생각도 종종 듭니다.
최근에 제가 한가지 깨달은 것은, 저에게 있어서 “일상의 대화”가 너무 어렵다는 것입니다. 원래부터 그랬던 것인지 혹은 최근에 와서 그런 것인지는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그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언제부터인가 저는 상당히 과묵한 사람이 되었고, 저의 말을 하기 보다는 주로 듣는 사람이 되었고, 다른 사람에게 질문을 하는 사람이 되었습니다.
"뭐 말을 좀 줄여서 사는 것도 괜찮지 않냐" 라고 말씀하실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언어를 통해서 다른 사람과 소통하는 것이 핵심적인 목회의 일이기 때문에, 저에게 있어서는 굉장히 심각한 일이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음도 많이 아팠습니다. 그래서 제 자신을 돌아보면서 그리고 앞으로의 저의 목회와 삶의 방향을 가늠해 보면서, 요 며칠은 아내와 깊은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제 자신이 저를 현상적으로 관찰 해 볼 때에 가장 흥미로운 것은, 저는 "대화를 꽤 잘 하는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아내와 대화할 때에 최소 한두시간 정도는 이야기를 나눕니다. 최근에 심방한 분들도 두시간 이상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사실 시간 가는 줄 몰랐습니다. 그리고 그 대화의 내용들은 매우 의미가 있었고 또 저의 마음을 고양시키는 귀한 내용들이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언어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인지적인 문제가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겠습니다.
다만 제가 어려운 것은, “일상의 대화” 입니다. 일상이란 무엇일까요? 언뜻 떠오르는 것은, 가족, 차, 날씨, 집, 재산, 스트레스, 옷, 가구, 인테리어, 컨디션 정도 인 듯 합니다. 그런데 막상 글로 적어 놓고 보니, 저는 무엇이 일상인지조차 감을 잡지 못하겠군요. 어쩌면 일상이라는 것은, 누구와도 쉽게 나눌 수 있는 주제 혹은 영역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크게 깊이 들어가지 않고 나눌 수 있는 스몰톡입니다.
그런데 제 머리 속에는, 일상이라고 보기에는 조금 어려운 영역들로 꽉 차 있습니다. 때론 심장이 너무 고동을쳐서 버겁다고 느낍니다. 비전, 삶의 변화, 성도의 성숙, 성경 교육, 북클럽, 독서 성경 묵상, 자기 계발, 생과 사, 십자가, 진실한 인간 관계 이런 것들입니다. 이러한 것들은 저로 부터 분리된 어떤 것이 아니라, 저의 존재 자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것들은 보편적으로는 일상이라고 누군가에게 선뜻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제가 볼 때에도, 저는 너무 진지합니다. 그러다보니 저의 진지함이 사람들을 지나치게 불편하게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상대방이 준비가 되지 않았을 수도 있고, 제가 타이밍에 못 맞추고 쓸데 없이 진지했을 수도 있습니다. 어찌되었든지 결과는 "어색함"입니다.
일상의 대화는 쉽지 않은데, 오히려 상대방에게 이렇게 저렇게 자꾸 질문을 하는 버릇이 있습니다. 저는 질문을 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왜 그럴까? 그것도 돌아 보았습니다.
저는 오랫동안 북클럽의 셋팅이 몸에 배여있습니다. 북클럽은 참여하는 분의 자기 표현속에서 자아의 성찰과 적용이 중요하게 일어납니다. 그것을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저는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가 산더미처럼 있어도, 상대방이 이야기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지금까지 여기고 살아왔습니다.
그런데 지금 냉정하게 돌이켜보니, 어쩌면 상대방은 이야기 하고 싶지 않은데, 그것을 배려라고 생각하며 착각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삶이라는 것은, 북클럽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의 10년에 가까운 저의 학문적인 고민과 실천은 저를 이런 사람으로 만든 것 같습니다.
저는 저의 소신이 분명한 사람입니다. 그래서 제가 말을 한번 하기 시작하면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지 않고 혹은 다른 사람에게 부담이 될만한 이야기를 할 가능성이 항상 크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실제로도 몇번 그런 경험을 했습니다. 저의 스스로의 확신 때문에 제 자신을 주체할 수 없었던 안타까운 경우입니다. 그래서 제 자신을 더 조심하고 절제하는 듯 합니다.
그리고 오랫동안 커뮤니케이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일방적인 명령의 맥락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그것이 저를 참 힘들게 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제가 대화를 주도하기 보다는, 오히려 최대한 더 상대방에게 자신의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을 제 스스로에게 더 중시하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사실 답은 아직 찾지 못했습니다. 저는 여전히 일상의 대화를 잃어버린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가볍게 날씨 정도의 대화만 할 수 있다면 좋겠는데, 여전히 쉽지가 않습니다. 그래도 오랜 대화 끝에 아내의 조언이 많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상대방이 원하는 정도로만, 상대방이 사용하는 주제 정도에 대해서만 대화를 나누기로 했습니다. 상대방이 원하지 않는 주제넘는 혹은 쓸데 없이 질문하느니 그냥 말을 하지 않는 것으로 방향을 정했습니다. 분위기를 적당히 맞추되 일상의 대화 딱 거기까지라면, 그것도 인정하기로 했습니다.
대화가 좀 더 진지하게 풀릴 수도 있겠지만, 무리하여서 거기로 끌고 가지는 않기로 했습니다. 어쩌면 제가 지금까지 살아왔던 것보다 훨씬 소극적인지도 모르겠지만, 어쩌면 좀 더 보편적인 삶을 위해서 필요한 과정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 자신을 보면, 여전히 많이 편향되고 또 그릇이 작습니다. 언제쯤 좋은 목회자로, 일상의 대화조차 자유로운 사람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글쎄요, 40대를 지나면 그정도의 연륜과 깊이를 가질 수 있을까요? 그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지금의 아픈 고민이 미래를 향한 작은 초석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선하게 저의 대화를 인도하시기를 기도합니다. :)
2020년 10월 30일 금요일
금요찬양교실 (8) - 사랑합니다 나의 예수님
1. 가사 살펴보기
사랑합니다 나의 예수님 사랑합니다 아주 많이요
사랑합니다 나의 예수님 사랑합니다 그것 뿐예요
사랑한다 아들아 내가 너를 잘 아노라
사랑한다 내딸아 네게 축복 더 하노라
2. 곡 소개
이 곡은 비교적 단순한 가사와 멜로디 속에서 기독교 신앙이 가진 그 핵심을 짚어내는 귀한 곡이다.
이 곡이 강조하는 것은, 예수님과 우리의 관계는 사랑의 관계이다 라는 것이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주님의 보살핌과 사랑과 인도하심을 받는 자녀가 된다. 그리고 주님이 우리에게 요구하시는 것은, 주님을 향한 진실한 사랑이다. 이러한 사랑의 관계를, 예수님과 성도 간에 주고 받는 대화의 형식으로 만들었다.
3. 말씀으로 바라보기
창세기 22:2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네 아들 네 사랑하는 독자 이삭을 데리고 모리아 땅으로 가서 내가 네게 일러 준 한 산 거기서 그를 번제로 드리라 22:2 Then God said, "Take
your son, your only son, Isaac, whom you love, and go to the region of Moriah.
Sacrifice him there as a burnt offering on one of the mountains I will tell you
about."
이삭은 하나님께서 희생시키신 그분의 사랑을 받는 그리고 독생자이신 예수님의 예표 혹은 그림자입니다.
Joel
R. Beeke, Michael P. V. Barrett, and Gerald M. Bilkes, eds., The
Reformation Heritage KJV Study Bible (Grand Rapids, MI:
Reformation Heritage Books, 2014), 39.
요한1서 3:1 보라 아버지께서 어떠한 사랑을 우리에게 베푸사 하나님의 자녀라 일컬음을 받게 하셨는가, 우리가 그러하도다 그러므로 세상이 우리를 알지 못함은 그를 알지 못함이라 3:1 How great is the love the
Father has lavished on us, that we should be called children of God! And that
is what we are! The reason the world does not know us is that it did not know
him.
아버지가 하신 일이라는 것은 단순히 종교적인 대화나 혹은 긍정적인 생각의 힘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아닙니다. 당신이 그리스도인이라면, 당신을 사랑하고 이 땅의 아버지의 실패를 공유하지 않는 완전한 하늘 아버지가 계십니다. 게다가 그는 창조의 왕입니다. 당신은 왕족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이 당신을 거부할 때 놀라지 마세요. 세상은 하나님을 모르기 때문에 그분의 아들도 거절한 것입니다. 당신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Tony
Evans, The
Tony Evans Study Bible (Nashville, TN: Holman Bible, 2019), 1496.
요한복음 21:15 그들이 조반 먹은 후에 예수께서 시몬 베드로에게 이르시되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이 사람들보다 나를 더 사랑하느냐 하시니 이르되 주님 그러하나이다 내가 주님을 사랑하는 줄 주님께서 아시나이다 이르시되 내 어린 양을 먹이라 하시고 (개역개정) 21:15 When they had finished
eating, Jesus said to Simon Peter, "Simon son of John, do you truly love
me more than these?" "Yes, Lord," he said, "you know that I
love you." Jesus said, "Feed my lambs." (NIV)
제자도에는, 단 하나의 요구 사항이 있습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깊이 사랑한다면, 그분이 요구하는 것을 기꺼이 할 것이며 제자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베드로가 그분을 사랑하는가에 대한 예수님의 질문에 대답할 때 마다, 예수님께서는 그에게 할 일을 주셨습니다. 예수님에 대한 사랑은, 우리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을 섬기도록 인도합니다. 모든 제자들은 사명이 있습니다. 나의 주된 관심사는, 내가 주님을 사랑하기 때문에 주님께서 나에게 맡기신 할 일을 감당하는 것입니다.
Holman
Bible Publishers, CSB
Disciple’s Study
Bible: Notes (Nashville, TN: Holman Bible Publishers, 2017), 1636–1637.
4. 찬양에 대한 묵상
이 곡은, 우리의 신앙의 핵심을 잘 묘사하고 있다.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는 것은 단순히 지적인 동의가 아니라, 부모와 자녀의 가장 깊은 사랑의 관계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아버지 하나님의 놀라운 사랑이 이미 먼저 우리에게 부어졌다는 것이다. 구약으로부터 예고 된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과 죽으심을 통하여, 우리의 죄의 대가가 치뤄지고 우리는 예수님 안에서 용서 받았다. 우리가 예수님 안에 있기 때문에,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사랑 받는 자녀로서 세상 속에 살아가는 것이다.
자신의 모든 것을 우리에게 부어 주신 예수님께서는, 마치 베드로에게 그러하셨던 것처럼 우리의 마음의 상태에 대해서 계속적으로 물으신다. 예수님의 질문은 요즘 표현으로 “돌직구”이다. 예수님이 요구하시는 것은, 우리의 일부분이 아니라 우리의 전부이다. 다른 어떤 것, 혹은 어떤 사람과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예수님을 사랑하느냐고 물으신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찬양을 통해서, 기독교 신앙의 본질로 돌아간다. 하나님의 자녀로서 평안을 누리며 그분의 사랑에 감사하게 된다. 그리고 또한 우리 역시 온 마음을 다해서 주님을 사랑하겠다고 고백함으로써, 새롭게 주님의 뜻을 따르며 이 세상을 살아가겠다고 결단하게 되는 것이다.
* 삶으로 드리는 찬양 전체 묵상 모음
https://jungjinbu.blogspot.com/2022/06/1_30.html
추천 글
로고스 프로그램으로, 평신도 성경 공부하기 with 스터디 바이블 노트 Study Bible Notes (2023년 9월 업데이트)
주의 말씀의 맛이 내게 어찌 그리 단지요 내 입에 꿀보다 더 다니이다 (시 119:103) 누구나 성경을 열심히 읽으라는 말은 듣습니다. 그리고 성경이 꿀보다 달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