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신01)마24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신01)마24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3월 28일 화요일

"설교의 요소"와 "영역 구조"에 대한 고찰 - "성경, 설교자 그리고 청중"의 만남 / 마 24:15-31 주일 설교를 준비하며

 




* 설교는 참으로 "신비롭다"

설교는, 하면 할수록 신비로운 듯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설교자"를 통해서 말씀하십니다. 그것 자체가 "기적"입니다. 저는 이 부분이 굉장히 두렵게 느껴집니다. "하나님의 뜻"이 "인간을 통해서" 선포된다는 것은, 설교자를 한 없이 겸손하게 만듭니다. 그러므로 "설교자의 자리 자체"가, 저에게는 너무나 큰 무게입니다.
 
저는 아주 오랫동안 제 설교가 더 이상 발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더 이상 더 열심히 할 수 없을만큼 이미 충분히 노력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설교를 거듭할 수록, 막연했던 것들이 더 선명해지고, 더욱 발전해야 하는 부분들이 보입니다. 그런 부분을 발견할 수록, 더 능동적으로 제 자신을 굴복시키고 훈련하게 됩니다.

* "설교를 준비"하면서 "설교를 깨닫다"

최근에 설교를 준비하면서 갑자기, "하나의 거대한 아이디어"가 떠올랐습니다. "설교의 요소들과 구조"에 대한 아이디어입니다. 그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킨 것이 바로 "위의 그림"입니다. 

저는 설교학 전공이 아니지만, 설교에 대해서 많이 고민할 때에 하나님께서 이런 아이디어를 주셨습니다. 성경 본문을 놓고 고민하고 또 고민하다가, 과연 설교라는 것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생각을 어느 정도 정립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내용을 함께 나눕니다. 

* 설교에는 "성경"이 들어간다

이번에 준비한 설교는, "마태복음 24장 15절에서 31절"까지 입니다. 다니엘의 예언으로 바탕으로 한 예수님의 예언과 미래에 닥쳐올 마지막 시대를 한꺼번에 다루는 사실 굉장히 복잡한 본문입니다. 하나하나 파고들면 주해적인 내용이 끝이 없고, 또 한편으로는 마지막 때를 다루는 본문이기 때문에 예민한 본문이기도 합니다. 

자 이렇게 복잡하고 난해한 본문을 과연 어떻게 접근하고 설교해야 할까요? 우리는 설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를 "성경"이라고 생각합니다. 완전히 맞는 말입니다. 성경이야 말로 설교의 가장 중요한 것임은 그 누구도 부인하지 못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한번 이렇게 생각해볼까요? 만약에 설교를 이루는 요소가 "성경이 전부"라면, 사실 성경만 봉독해드리고 설교자는 다시 내려오면 됩니다. '아무런 해석'도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누구도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그것을 설교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 설교에는 "설교자"가 들어간다

그렇다면 드디어 여기에서, 설교의 또 다른 요소인 "설교자"가 등장할 차례입니다. 성경은 설교자를 통해서 "해석"되어집니다. 설교자는 성경을 충분히 "묵상"하고 "주해"하면서 그 내용을 밝히 드러내야 합니다. 그런 면에서 "성경과 설교자 사이"에는 "주해"가 존재합니다. 

주해라는 것은 결국 "주관성"이 들어갈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최대한 좋은 주석들을 살펴보고 공통점들을 찾지만, 결국 성경을 살피는 해석자라는 점에서는 설교자의 주관성이 들어가게 됩니다. 그런 면에서 설교는 단순히 성경을 읽어주는 것이 아닌, "설교자의 주관성"이 개입하는 작업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치 그 어떤 오류도 없는 설교와주해를 기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 설교에는 "청중"이 들어간다

그러나 설교에는, 성경과 설교자만 들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청중"이 있습니다. 모든 설교는 "듣는 사람"이 반드시 존재하며, 그들은 설교에 영향을 주는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설교자는 "설교를 준비할 때"에 청중을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에 설교 가운데 성경과 설교자만 존재한다면, 설교 중에 설교자는 자신이 조사한 "주해 자료"만 발표하고 설교단에서 내려오면 될 것입니다. 누구는 이렇게 이야기했고, 누구는 저렇게 이야기했고, 누구는 이렇게 마무리 했다 라고 내용만 이야기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이번 설교는 스터디 바이블 뿐만 아니라, 저명한 마태복음 주석들을 많이 참조하였습니다. 그리고 심지어 Exegetical Summary를 꼼꼼하게 다 살펴보았습니다. 아마 그 내용만 이야기해도 두시간이 부족할 것입니다. 과연 그것이 설교일까요?

그러나, 설교자는 청중을 목회하는 사람입니다. 지금 이 본문이 "내가 섬기는 회중"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고민하고 설교를 준비해야 합니다. 그런 면에서 설교자와 청중 사이에는 "목회"가 존재합니다. 설교자가 읽고 공부한 주해 자료는, "청중이라는 프리즘"을 통과하면서 꼭 필요한 내용들이 드러나며 압축이 됩니다.

다시 말해서 설교자는, "주해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주해를 어느 정도 선까지 어느 방향성에서 나눌 지"를 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주해를 "청중이 어떻게 받아들일지"를 청중의 입장에서 고민해야 합니다. 내가 공부한 내용이라고 아무 내용이나 이야기해서는 안됩니다. 그런면에서 목회자는, 평소의 "목회"를 통해서 성도의 영적인 수준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이번에 준비한 본문은, "성경과 설교자, 그리고 주해만 생각한다면" 이렇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다니엘의 예언이 이루어진 얼마나 정확했는지, 혹은 예수님의 예루살렘 성전 파괴의 예언이 얼마나 정확하고 또 그것이 비참했는지를 전달만 하면 됩니다. 

혹은 전천년설, 후천년설, 그리고 무천년설을 다루면 됩니다. 그리고 거기에 따른 학자들의 논의와 요한 계시록과의 연관성을 따지면서 그것을 나누면 됩니다. 아마도 상당히 아카데믹하면서 지루한 논의가 될 것입니다. 제 자신의 주해 자료들만 고려하면 이렇게 진행하는 것도 충ㅂ누히 가능합니다.

그러나 설교에서 "청중"을 "목회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그 방향성"이 바뀌게 됩니다. 성도님들의 현실을 고려하여서 "택자"라는 성경적인 맥락, 그리고 "주님이 반드시 오신다"라는 그것을 강조하는 것으로 설교의 방향을 조정하였습니다. 만약에 청중을 고려하지 않았다면 설교의 방향을 결코 이렇게 정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 설교에는 "적용"이 들어간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설교에는 "적용"이 들어갑니다. 적용은 결국 "목회의 꽃"입니다. 좋은 주해를 가지고 있는 설교자가, 목회적인 마음으로 청중을 고려하면서, 설교의 방향을 잡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아주 날카롭게 적용의 핵심을 갈고 닦아서, 적용점이 "청중의 마음"에 박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성경과 청중 사이"에는 적용이 존재합니다. 

여기서 설교자에게 중요한 것은, "과정적"으로는 성경과 설교자 사이에 존재하는 주해가 있고, 또 목회적인 고려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론적으로" 성도들은, "성경이 요구하는 적용" 이다 라고 적용점을 느끼고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적용이라는 부분에서, 이미 오랫동안 고민했던 제가 만든 "퓨전 설교"구조가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모릅니다. 이번 설교도 철저하게 퓨전 설교의 구조였습니다. 그것에 대해서 고민하고 또 고민하고 갈고 닦지 않았다면, 정말 중요한 지금의 시점에 있어서 우왕자왕하면서 너무나 힘든 시간을 보냈을 것이 틀림 없습니다.

* 설교는 결국 "균형"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이러한 논리 가운데, 과연 "설교 자체"는 어디에 존재하는 것일까요? 위의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설교라는 것은, 성경과 설교자와 청중이라는 "세가지 요소 그 사이에" 존재합니다. 그래서 위의 "설교"라는 노란 원은,세 요소 사이 "중앙"에 위치합니다. 

기억하실 것은, 제가 "파란색 점선"으로 설교의 원을 처리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설교의 영역 안에 위치하는 "설교 자체"가, "어느 정도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서, 어떤 설교는 "성경" 쪽에 더 가깝고, 어떤 설교는 "설교자" 쪽에 더 가깝고, 또 어떤 설교는 "청중" 쪽에 더 가까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이 부분에서, 어느 정도 유동성을 인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저와 같은 보수적인 목회자는, "성경 자체를 잘 드러내는 것"이 마치 "설교의 성공"인것 처럼 생각합니다. 그러나 위의 이미지에서 보는 것처럼, 사실상 좋은 설교는 "세가지 요소" 그리고 "그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들"이 각각 분명한 위상을 가지고 있어야하고, 가급적 성경과 설교자 그리고 청중이라는 세가지 요소 사이에 "균형 있게 존재"해야 하는 것입니다. 

* 설교는 "성령님"이 하시는 일이다

그리고 설교의 요소를 생각할 때에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설교를 이루시고 이끌어가시는 분은, "성령 하나님"이시다 라는 것입니다. "성경, 설교자, 청중, 그리고 설교 자체를 지배하시는 분"이 성령님이십니다. 위의 그림에서처럼, "모든 요소와 과정을 포괄하여서" 그리고 "설교를 이루는 전체 구조"를 통해서 성령님께서 역사하십니다. 그러므로, "성령님과 분리된 설교"라는 것은 논리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성령님께서 성경의 저자이시고, 설교자에게 말씀을 깨닫게 하시며, 청중의 안에 함께 거하시고, 설교자가 청중을 목회하도록 하십니다. 그리고 성경을 통해 청중의 마음에 말씀을 적용하게 하십니다. 

왜 "성령님이 역사하시는 구조"가 중요할까요? 먼저 이 구조를 충분히 이해하고 성경적이라고 받아들였을 때에야 저는, "설교 직전의 기도" 속에서 "성령 하나님의 역사"를 위하여 강하게 기도할 수 있었습니다. 설교 전에 기도할 때야 말로, 성령님의 역사를 간구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시점이라는 것을 이번에 더욱 확고하게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성령님의 역사하시는 구조"라는 점에서 또 다른 중요한 한가지는 이것입니다. 사람들은 흔히 설교자가 "원고에서 조금 자유로워지는 것"이 "성령 하나님의 역사를 인정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항상 궁금합니다. 과연 그러한 주장은 무슨 성경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는 것일까요?

제가 생각하는 것은 이것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사실 성령 하나님께서는 "이미" 역사하고 계십니다. 설교의 요소들을 통해서, 그리고 설교의 전체 구조와 그 흐름 안에서 이미 성령 하나님께서 역사하고 계십니다. 그러므로, 굳이 "정리되지 않은 언어들로 두서 없이 이야기 하는 것"을 마치 성령님의 특별한 역사라고 주장하는 일은 없어야겠습니다.

* 좋은 설교를 꿈꾸며

저는 오늘도 좀 더 좋은 설교를 꿈을 꿉니다. 제 설교를 듣고 제 자신이 변하고 싶고, 또 함께 들으시는 성도님들이 은혜를 많이 받으시고 그분들의 마음과 삶이 변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성령님의 불처럼 뜨거운 역사가 경험되고 느껴지는 그런 설교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것이 설교자로서 평생의 저의 소원입니다.


*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고, 
커피 한잔 기부를 통해 정진부 목사를 응원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buymeacoffee.com/jungjinbu5

2022년 2월 17일 목요일

말씀 묵상 어디까지 해봤니? - 마태복음 24장 / 미혹의 시대, 말씀으로 깨어 인내하며 견디라

 

종교 지도자들과의 논쟁을 맟신 이후에, 예루살렘 성전에서 출발합니다. GT 스터디 바이블은 예수님과 제자들이 베다니로 가는 길에서, 성전의 장엄한 모습을 볼 수 있는 감람산에서 잠시 멈추었다고 설명합니다. 이미 널리 알려졌던 성전의 위대한 모습을 제자들은 예수님께 보여드리고 싶어 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성전이 완전히 파괴될 것을 예언하십니다. 

이렇게 장엄한 성전이 완전히 무너진다는 것은 감히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제자들은 그 시기와 세상의 끝에 대한 징조를 예수님께 물어봅니다. GT 스터디 바이블은 24장 전체를 이해할 때에, 이것은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될 그 때와, 세상의 마지막 날에 닥칠 일들을 함께 말씀하고 있다고 이해합니다. 

징조의 시작이 "사람"이라는 것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그 어떤 징조보다 조심하고 분명히 보아야 할 것이 사람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한두명이 아니라, 많은 사람이 자신이 그리스도라고 주장하여 사람들을 속일 것입니다. 

사람들은 세상의 끝의 징조에 대하여 단순히 어떤 초자연적인 일들에만 집중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단과 적그리스도가 수도 없이 일어날 것이고, 예수님의 제자들은 미움과 죽임을 받을 것이라고 분명히 말씀합니다. 그러므로 세상의 마지막이라는 것은, 인격적인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일들입니다. 누군가는 우리를 미혹할 것이고, 누군가는 우리를 핍박할 것입니다. 

가장 가슴 아픈 것은, 함께 신앙 생활을 하던 사람들이 배교할 것이며, 심지어 그들이 동료 크리스천들을 배반할 것이라는 점입니다. 주목할 것은, 불법와 사랑이 대조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세상에는 불법이 넘쳐날 것이며, 그것으로 인해서 사랑은 식게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세상의 마지막 때에 맞서서 "우리의 실천적인 면에서 가장 강조되야 하는 것이" 사랑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모든 어려움을 말씀하신 이후에, "그러나"로 말씀합니다. 이 모든 상황을 감안하고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견뎌야 합니다. 신약에 많이 등장하지는 않지만, 어쩌면 이 단어보다 더 중요한 단어는 존재하지 않는 듯 합니다. 히브리서 12장 2절에서, 십자가를 "참으사"에서 동일한 단어입니다. 성도의 삶의 핵심은 인내와 참는 것 입니다. 

14절에, 천국 복음이 모든 민족에게 증언되기 위하여... 그제야 끝이 오리라 라는 말씀은, 이러한 문맥 안에서 이해되어야 합니다. 예수님은 세상 끝까지 자신이 전파될 미래를 미리 바라보고 계십니다. 이 구절만 보면, 마치 아무런 힘든 일 없이 말씀이 세상 끝에 전해지기만 하면 주님 오실 것이다라는 단순한 이해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심각한 핍박과 괴로움과, 십자가를 지는 것 같은 죽음의 맥락에서 복음이 전해지는 것입니다. 세삼 마음이 더욱 무거워집니다. 

다니엘 말씀에 대한 예수님의 말씀 역시, 성전 파괴 혹은 종말론적인 사건을 동시에 의미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하나님께서 모든 상황을 주관하고 계신다는 것입니다. 주님께서 택하신 자들을 위하여 그 고난의 날들을 감하여 주실 것이라고 약속하십니다. 

예수님께서 친히 약속하시기를, 모든 사람들이 다 볼 수 있도록, 매우 놀라운 모습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하십니다. 그런 의미에서 현재 존재하는 이단들은 모두 사기꾼이 틀림없습니다. 감히 인간이 하나님 혹은 그의 대리자를 사칭하는 것입니다. 마귀의 역사이며, 마귀의 수하 혹은 추종자들의 유일한 목적은, 택하신 자들을 "미혹"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이 오시는 날은, 천지가 진동하는 날입니다.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정도의 강력한 초자연적인 역사들이 일어날 것입니다. 주님을 믿지 않던 이들은 통곡할 것입니다. 그리고 택하신 자들은 눈물의 찬양을 돌릴 것입니다. 주님은 오직, 택하신 자들만 사방에서 친히 모으십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것들은, 사실상 역사 가운데 이미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미 예루살렘 성전은 무너졌습니다. 교회 역사 가운데 수 많은 고난과 성도들이 당한 핍박, 그리고 이단의 출현들이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예수님께서 "문 앞에" 이르신 것이 틀림 없습니다. 

35절에, 천지는 없어질지언정, 내 말은 없어지지 아니하리라 말씀하십니다. 24장의 첫 시작이 무너질 성전에 대한 제자들의 감탄으로 시작된 것 처럼, 여전히 사람들은 보이는 것에 약합니다. 하늘과 땅이 무너지는 것과 같은 고난과 환란, 그리고 미혹 속에서도, 성도가 붙들 것은, 영원히 존재하는 "하나님의 말씀" 입니다.

노아의 때는, 사람들이 자신의 일상 생활에 집중했습니다. 자기들이 살고 싶은대로 살았습니다. 놀랍게도, 홍수가 나서 그들을 다 멸하기 까지도 자신들을 돌이키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바로 이 모습이, 예수님이 오실 때의 동일한 모습이라고 하십니다. 

마지막 비유가 너무나 마음에 와 닿습니다. 종이라고 모두 동일한 종이 아닙니다. 악한 종과 충성된 종으로 나뉩니다. 충성되고 지혜 있는 종이 되기 위해서는, 주인만 생각하고, 주인의 뜻을 실천하고, 주인을 기다려야 합니다. 주인은 반드시 돌아올 것이며, 주인의 뜻을 행하던 자에게는 복이 있을 것입니다. 

At the beginning of Matthew 24, Jesus's disciples want Jesus to see the temple of Jerusalem. The temple was well known to the world for its spectacular design. However, Jesus warns that the temple will be ruined totally. 

I assume that his disciples were astonished. So, they ask when this will occur and the sign of that. Scholars think that the response of Jesus was mixed with a near-future of the temple destruction and the future of his second coming.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future is that there will be severe temptations. Due to Jesus' name, real Christians will be persecuted. Many people in the church will betray Jesus. And Antichrist will try their best to deceive the one who God elect. In this severe situation, his people should endure and hold the word of God that will never pass away.

Jesus distinguishes his slaves between wicked slaves and faithful and wise ones. When the mater comes back, he will evaluate his slaves. His evaluation will be critical to the slave's life. Only faithful and wise slaves will have the master's blessing. 

추천 글

로고스 프로그램으로, 평신도 성경 공부하기 with 스터디 바이블 노트 Study Bible Notes (2023년 9월 업데이트)

주의 말씀의 맛이  내게 어찌 그리 단지요  내 입에 꿀보다 더 다니이다 (시 119:103) 누구나 성경을 열심히 읽으라는 말은 듣습니다. 그리고 성경이 꿀보다 달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

리딩 크리스천 독서 묵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