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신03)눅14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신03)눅14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2년 5월 14일 토요일

삶으로 드리는 찬양 (81) - 주님을 따르리

 

1. 가사 살펴보기

주님을 따르리 내 십자가 지고 주따르리
주님을 따르리 내 십자가 지고 주따르리 

주를 따르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따르라
주를 따르려거든 자기 십자가 지고 따르라 

주님이 네 안에 충만히 거하시도록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 지고 따르라
주님이 너의 삶을 통해 영광을 받으시도록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 지고 따르라 

우리 다함께
주님을 따르리 내 십자가 지고 주 따르리
주님을 따르리 내 십자가 지고 주 따르리 


2. 곡 소개

곡은 Morris ChapmanFollow Me를 번안한 찬양이다. 자기를 부인하고 십자가를 지고 따르라 라고 말씀하신 주님의 부르심을 고백하는 매우 아름다운 곡이다. 반복되는 가사와 멜로디를 통해서 기독교 신앙의 핵심을 마음에 풍성하게 새기고 묵상할 수 있는 탁월한 곡이다.


3. 말씀으로 바라보기

누가복음 9:23 또 무리에게 이르시되 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 9:23 Then he said to them all: "If anyone would come after me, he must deny himself and take up his cross daily and follow me. 9:24 누구든지 제 목숨을 구원하고자 하면 잃을 것이요 누구든지 나를 위하여 제 목숨을 잃으면 구원하리라 9:24 For whoever wants to save his life will lose it, but whoever loses his life for me will save it.

9:23 cross. See note on Mt 10:38. Self-denial was a common thread in Christ’s teaching to his disciples (cf. 14:26, 27; Mt 10:38; 16:24; Mk 8:34; Jn 12:24–26). The kind of self-denial He sought was not a reclusive asceticism (see note on 7:34), but a willingness to obey His commandments, serve one another, and suffer—perhaps even die—for His sake. 자기 부인은 그리스도께서 제자들을 가르치실 때에 공통된 맥락이었습니다. 주님이 추구하신 자기 부인은 고독하게 지내는 금욕주의가 아니라, 기꺼이 주님의 계명에 순종하고, 서로 섬기며, 그분을 위해 고난 아마 심지어 죽음까지도 감당하는 것이었습니다.

John F. MacArthur Jr., The MacArthur Study Bible: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ashville, TN: Thomas Nelson Publishers, 2006), 9:23.

9:23 deny themselves. Abandon their own ambitions and goals. take up their cross. Imitate Jesus and follow the will of his Father. Discipleship demands a drastic shift in one’s “daily” life to take on the mission of Jesus, even to the point of death. After Jesus’ death, resurrection, and ascension, disciples are called to continue his mission by representing him here on earth. 자기를 부인하고 : 자기 자신의 야망과 목표를 버리세요. 자기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을 본 받고 아버지의 뜻을 따르세요. 제자도는 예수님의 사명을 감당하기 위해 죽음에 이르기까지 일상의 삶의 과감한 전환을 요구합니다. 예수님의 죽음, 부활, 승천 후에 제자들은 이 땅에서 예수님을 대표하여 그의 사명을 계속 하도록 부름을 받았습니다.

D. A. Carson, “The Gospels and Acts,”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1844.

23 Discipleship means 1) negatively, denying (lit., saying “no” to one’s self—the self that is in opposition to God) and putting to death on the cross one’s sinful desires; 2) positively, following Jesus Christ (cf. Rm 8:13). In the garden of Eden man affirmed self and denied God. Now, Jesus says, do the opposite. 제자도는 부정적인 맥락에서는 거절 (즉 하나님에 대하여 반대되는 자신의 자아를 향해 아니요 라고 말하는 것) 그리고 자신의 죄악된 욕망을 십자가에서 죽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적극적으로는, 예수님을 따르는 것입니다. 에덴 동산에서 사람은 자기를 긍정하고 하나님을 부정했습니다. 이제 예수님은 그 반대로 행하라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Jay E. Adams, The Christian Counselor’s New Testament and Proverbs, ed. Donn R. Arms, Fourth Revised Edition. (Cordova, TN: Institute for Nouthetic Studies, 2019), 137.

누가복음 14:33 이와 같이 너희 중의 누구든지 자기의 모든 소유를 버리지 아니하면 능히 내 제자가 되지 못하리라 14:33 In the same way, any of you who does not give up everything he has cannot be my disciple

14:33 You are a steward of all you have; you are not an owner. God has given you possessions to manage. You are to thank him for them, use them for his glory, and bless others with them. What you must not do is claim ownership. 당신은 당신이 가진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감사할 수 있고 하나님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 그곳으로 다른 이들을 축복을 수 있지만 유일하게 할 수 없는 것은 그것에 대해서 소유권을 주장하는 것입니다.
Tony Evans, The Tony Evans Study Bible (Nashville, TN: Holman Bible, 2019), 1206.

14:33 forsaketh all. Though disciples may have and use material possessions as stewards of the Lord (1 Tim. 6:17–19), they must renounce this world as their treasure in order to hope in Christ alone. 모든 소유를 버리지 아니하면 : 비록 제자들이 주님의 청지기로서 물질의 소유들을 가지고 사용할 수 있지만, 오직 그리스도께만 소망을 두기 위해서는 이 세상을 그들의 보물로 삼는 것을 포기해야 합니다.

Joel R. Beeke, Michael P. V. Barrett, and Gerald M. Bilkes, eds., The Reformation Heritage KJV Study Bible (Grand Rapids, MI: Reformation Heritage Books, 2014), 1484.

빌립보서 3:7 그러나 무엇이든지 내게 유익하던 것을 내가 그리스도를 위하여 다 해로 여길뿐더러 3:7 But whatever was to my profit I now consider loss for the sake of Christ. 3:8 또한 모든 것을 해로 여김은 내 주 그리스도 예수를 아는 지식이 가장 고상하기 때문이라 내가 그를 위하여 모든 것을 잃어버리고 배설물로 여김은 그리스도를 얻고 (개역개정) 3:8 What is more, I consider everything a loss compared to the surpassing greatness of knowing Christ Jesus my Lord, for whose sake I have lost all things. I consider them rubbish, that I may gain Christ (NIV)

3:8 Paul considered everything else to be worthless trash compared to having faith in Jesus. The Greek term translated rubbish refers to useless and undesirable material and could even be translated with a term that refers to excrement. 바울은 예수님을 믿는 믿음에 비하면 다른 모든 것을 무익한 쓰레기로 여겼습니다. 쓰레기로 번역된 그리스어는 쓸모 없고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을 가리키며 배설물을 나타내는 용어로 번역될 수도 있습니다.

The Wartburg Project, Holy Bible: Evangelical Heritage Version Study Bible (Midland, MI: Northwestern Publishing House; Wartburg Project, 2019), 3:8.

3:7–8 Paul counts his past accomplishments and anything in the present or future as loss compared to knowing Jesus. Indeed, things are worthless when compared to Christ. But the only way a person can view life from this perspective is to see how valuable Christ truly is. 바울은 자신의 과거의 성취와 현재와 미래의 모든 것을 예수님을 아는 것과 비교하였을 때에 해로 여깁니다. 참으로 모든 것은 그리스도와 비교할 때에 무가치합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이 이러한 관점에서 삶을 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그리스도가 진정으로 얼마나 가치 있는지를 인지하는 것입니다.

Tony Evans, The Tony Evans Study Bible (Nashville, TN: Holman Bible, 2019), 1408.

3:8 excellence: The value of knowing Christ surpasses all else (see 2:3; 4:7). rubbish: This word means anything that is detestable or worthless. All the things of this world are rubbish compared to Christ. Even “our righteousnesses are like filthy rags” (see Is. 64:6). I may gain: The former gain (see v. 7) is here substituted for the latter gain: Christ Jesus (see 1:21). 가장 고상하기 때문이라. 그리스도를 아는 가치는 다른 모든 것보다 뛰어납니다. 배설물 : 이 단어는 가증하거나 가치 없는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이 세상의 모든 것은 그리스도에 비하면 쓰레기에 불과합니다. 심지어 우리의 의는 더러운 옷과 같습니다.

Earl D. Radmacher, Ronald Barclay Allen, and H. Wayne House, The Nelson Study Bible: New King James Version (Nashville: T. Nelson Publishers, 1997), 3:8.


4. 찬양에 대한 묵상

기독교의 본질은,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이다. 그분은 죄인인 우리의 구원자이시며 우리의 주인이시다. 그러므로 성도가 주님을 따르는 것은 누가 뭐래도 마땅한 것이며 삶의 본질이다. 주님을 따르기를 거절한다면 그분의 자녀라고 결코 말할 수 없다.

주님을 따른다는 것은 산에 들어가서 혼자서 말씀 읽고 기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매일 일어나는 나의 일상의 평범한 삶 속에서, 나의 욕망과 목적을 포기하고, 주님이 기뻐하시는 뜻과 그분의 꿈을 힘을 다하여 추구해 나가는 것이다.

우리가 주님을 따른다면, 세상의 것을 잃어버릴 가능성이 매우 크다. 재산, 명성, 가족, 그리고 다른 이들의 평판을 잃어버릴 수 있다. 그렇다면 도대체 왜 우리가 주님을 따르겠는가? 그것은, 바울 사도가 고백한 것처럼, 세상의 그 어떤 것도 감히 예수 그리스도와 비교할 수 없기 때문이다. 주님이 가장 소중하기 때문에 그분이 가장 가치 있는 분이기 때문에 기꺼이 그 어떤 다른 것도 포기하고 따를 수 있는 것이다.

우리에게 주어진 삶은 너무나 의미 있는 것이며, 나의 말과 행동과 선택을 통해서 평범한 나의 삶에서 주님의 뜻이 드러나야 한다. 더 나아가 이것은 이 찬양이 고백하는 것처럼 성도 한 사람 뿐만 아니라 교회 공동체가 바로 이 길을 함께 걸어가야 한다. 바로 이것을 통해서, 이 세상 가운데 하나님의 나라가 더욱 힘있게 확장되며 하나님께서 영광을 받으실 것이다.

삶으로 드리는 찬양 프로그램 전체 곡의 묵상을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0년 12월 4일 금요일

학위 논문을 쓰기 위해 당신에게 필요한 4가지 – 2. Scrivener (스크리브너)

 

누가복음 14:28 너희 중의 누가 망대를 세우고자 할진대 자기의 가진 것이 준공하기까지에 족할는지 먼저 앉아 그 비용을 계산하지 아니하겠느냐 (개역개정) 14:28 "Suppose one of you wants to build a tower. Will he not first sit down and estimate the cost to see if he has enough money to complete it? (NIV)

논문은, "매우 방대한 글 뭉치"입니다. 논문의 주제에 따라서 그 논리적인 흐름이 몇 갈래로 나눠지고 그 안에서 모든 정보들이 제 자리를 갖춰야 합니다. 그리고 다시 그 모든 논리들이 다시 뭉쳐 하나의 결론에 이르러야 합니다.

논문에서 중요한 것은 각주입니다. 논문은 단순히 내가 생각하는 것 혹은 느낌을 적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학위가 요구하는 수준의 전문적인 내용을 인용하여서 자신의 논리를 전개해 나가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결국 중요한 것은, 자료를 잘 찾는 것 만이 아니라 자료를 잘 정리하고 그것을 적절한 자리에 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오랫동안 설교를 위해서 마인드맵을 사용했습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논문의 구조를 마인드맵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그리고 항목별로 조사한 자료들을 각주 형태로 집어 넣었습니다. 그런데 너무 하위 항목이 많다 보니 오히려 보기에 어지럽고 도움이 안 되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논문을 시작한지 1년 정도 이후에 전략을 다시 짜야 한다는 것을 깨닫고 판을 완전히 엎었습니다.

새롭게 논문 준비를 시작하면서 가장 큰 도움을 받은 것이 "스크리브너 프로그램"입니다. 논문을 쓰기 전에는 들어보지도 못한 프로그램입니다. 그런데 찾아보니 이미 이 프로그램은 글 쓰는 이들에게 가장 좋은 툴로 이미 널리 알려진 프로그램이더군요. 

다양한 기능이 있지만 저는 딱 두가지에 집중했습니다. 어떤 프로그램이 좋다고 해서 모든 기능을 익히느라 시간을 낭비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글의 구조만들기와 세부 항목에 대한 각주 저장에 포커스를 맞추었습니다.

먼저 논문에 대한 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만들었습니다. 가장 기본 기능입니다. 마치 윈도우 폴더를 만들 듯이, 상위 항목과 하위 항목을 만들면 됩니다. 그리고 추가적인 세부 항목을 만들고 항목들 안에는 각 주제에 맞춰서 꾸준하게 자료를 조사하면서 그 항목에 해당하는 각주들을 저장하기 시작했습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스크리브너는 기본적으로 마치 코르크 보드를 벽에 붙여 놓고 거기에 post it 을 하나씩 붙이는 듯한 시각을 제공합니다그래서 내가 저장한 정보들을 한눈에 보면서 글을 쓰는 것이 가능합니다.

* 신학생이 소개하는 글쓰기 앱 스크리브너 (2): 둘러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3X4vbOLEeSI 
(유투브 링크 영상의 4:01 화면)


위의 스크린 샷처럼 자료들을 보면서 하나하나 중요한 것들을 모으면 됩니다. 만약 오랜 시간동안 각 항목에 따른 자료들을 충분히 모았다고 판단이 되면, 나중에 논문 쓸 때에는 각 항목에 따라서 풀어서 글로 적고 그 안에서 각주들을 실제로 사용하면 됩니다

생각해보면 전혀 어려운 일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내 기억력을 의존하기 보다는 지속적으로 프로그램 안에서 기록하면서 논문의 내용들을 채워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어쩌면 제 머리가 너무나 평범하기 때문에 더욱 크게 도움을 받은 것 같습니다. 유료 프로그램이지만 꼭 한번 써 보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글은 3편으로 이어집니다.

* 학위 논문을 쓰기 위해 당신에게 필요한 4가지 – 3. Logos Bible Program (로고스)

이전 글 
* 학위 논문을 쓰기 위해 당신에게 필요한 4가지 – 1. Zotero (조테로)

추천 글

로고스 프로그램으로, 평신도 성경 공부하기 with 스터디 바이블 노트 Study Bible Notes (2023년 9월 업데이트)

주의 말씀의 맛이  내게 어찌 그리 단지요  내 입에 꿀보다 더 다니이다 (시 119:103) 누구나 성경을 열심히 읽으라는 말은 듣습니다. 그리고 성경이 꿀보다 달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

리딩 크리스천 독서 묵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