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신03)눅17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신03)눅17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8월 20일 일요일

삶으로 드리는 찬양 (145) - 십자가의 전달자

 


1. 가사 살펴보기

난 지극히 작은 자 죄인 중에 괴수
무익한 날 부르셔서
간절한 기대와 소망 부끄럽지 않게
십자가 전케 하셨네 

어디든지 가리라 주 위해서라면
나는 전하리 그 십자가
내 몸에 벤 십자가 그 보혈의 향기
온 세상 채울 때까지 

살아도 주를 위해 죽어도 주를 위해
사나 죽으나 난 주의 것
십자가의 능력 십자가의 소망
내 안에 주만 사시는 것
내 사랑 나의 십자가

 

2. 곡 소개

곡은, 성도의 삶의 의미와 목적을 보여주는 곡이다. 하나님께서는 오직 십자가를 통하여 죄인을 부르시고 은혜로 구원하심을, 그리고 성도는 십자가를 전하며 오직 주님만을 위하여 사는 존재임을 탁월하게 드러낸 아름다운 곡이다.

 

3. 말씀으로 바라보기

누가복음 17:10 이와 같이 너희도 명령 받은 것을 다 행한 후에 이르기를 우리는 무익한 종이라 우리가 하여야 할 일을 한 것뿐이라 할지니라 17:10 So you also, when you have done everything you were told to do, should say, 'We are unworthy servants; we have only done our duty.'"

17:10 unprofitable servants. Christians should not swell up in pride over their service but should realize that obedience to the Lord is simply their duty, of itself meriting no praise or reward. 무익한 :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섬김으로 인해서 교만해져서는 안되며, 주님께 순종하는 것이 그들의 의무이고 그것 자체로는 칭찬이나 보상을 받을 가치가 없다는 것을 깨달아야 합니다.

Joel R. Beeke, Michael P. V. Barrett/Gerald M. Bilkes, 편집자, The Reformation Heritage KJV Study Bible (Grand Rapids, MI: Reformation Heritage Books, 2014), 1488.

빌립보서 1:20 나의 간절한 기대와 소망을 따라 아무 일에든지 부끄러워하지 아니하고 지금도 전과 같이 온전히 담대하여 살든지 죽든지 내 몸에서 그리스도가 존귀하게 되게 하려 하나니 1:20 I eagerly expect and hope that I will in no way be ashamed, but will have sufficient courage so that now as always Christ will be exalted in my body, whether by life or by death.

1:20 The crucial thing for Paul is not life or death. It is maintaining his faithful witness to Christ. Or by death indicates that Paul hopes to honor Christ even in the way he eventually dies. 바울에게 중요한 것은 사는 것이나 죽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그리스도에 대하여 충실한 증인으로 남는 것입니다. “죽든지” 라는 것은 궁극적으로 그가 죽는 것을 통해서도 그리스도께서 존귀하게 되기를 원한다라는 의미입니다.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281.

로마서 14:8 우리가 살아도 주를 위하여 살고 죽어도 주를 위하여 죽나니 그러므로 사나 죽으나 우리가 주의 것이로다 14:8 If we live, we live to the Lord; and if we die, we die to the Lord. So, whether we live or die, we belong to the Lord.

14:8 we die for the Lord Indicates that in all things, the believer’s purpose is to serve and please God. 우리가 주를 위하여 죽는다는 것은, 믿는 자의 목적이 모든 것에서 하나님을 섬기고 기쁘시게 하는 것임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we are the Lord’s Paul affirms that neither life nor death can adversely affect the believer’s union with Christ (see Rom 8:35; 1 Thess 5:10). 죽어도 주를 위하여 죽나니라는 것은 믿는 자의 목적은 모든 것에서 하나님을 섬기고 기쁘시게 하는 것임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John D. Barry, Douglas Mangum, Derek R. Brown기타, Faithlife Study Bible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12, 2016), 14:8.

14:7–9 None of us refers to believers, not people in general. Believers belong to the Lord. They live and die in relation to Him. Therefore Christians should aim to please Him. 신자는 주님의 것입니다. 그들은 주님과 관련하여서 살고 죽습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들은 그분을 기쁘시게 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합니다.

Earl D. Radmacher, Ronald Barclay Allen/H. Wayne House, The Nelson Study Bible: New King James Version (Nashville: T. Nelson Publishers, 1997), 14:7–9.

갈라디아서 2:20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자신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 2:20 I have been crucified with Christ and I no longer live, but Christ lives in me. The life I live in the body, I live by faith in the Son of God, who loved me and gave himself for me.

2:20 salvation, As Being in Christ—The best commentary on this text may be Jn 15:1–17. Being in Christ is tied inseparably and mystically to our radical union with Christ in his death and resurrection. It is a life lived by faith in the Son of God. We let Christ direct our thoughts and actions. We bury selfish interests in the interest of Christ. 그리스도 안에 있다는 것은 그분의 죽음과 부활 안에서 우리가 그리스도와 근원적으로 연합하였고 분리될 없도록 신비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입니다그것은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으로 사는 삶입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인도하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원하시는 안에서 우리의 이기적인 관심을 묻어 버리는 것입니다.

Holman Bible Publishers, CSB Disciple’s Study Bible: Notes (Nashville, TN: Holman Bible Publishers, 2017), 1818.

디모데전서 1:15 미쁘다 모든 사람이 받을 만한 이 말이여 그리스도 예수께서 죄인을 구원하시려고 세상에 임하셨다 하였도다 죄인 중에 내가 괴수니라 1:15 Here is a trustworthy saying that deserves full acceptance: Christ Jesus came into the world to save sinners--of whom I am the worst.

I am the foremost. Lit. “I am the first.” This is not a characterization only of his record as a blasphemous and violent persecutor prior to his conversion. Rather, as Paul has grown in Christ, even as the Holy Spirit has been conforming him to his Savior’s purity and love, he has also become increasingly aware of his own sinfulness. 죄인 중에 내가 괴수니라 : 문자적으로는 내가 가장 먼저니라입니다. 이것은 단순히 그가 회심 이전에 비방하고 폭력적인 박해자였던 그의 과거를 특징 짓는 것만은 아닙니다. 오히려 바울이 그리스도 안에서 성숙해지는 동안에, 성령님께서 그를 그의 구원자의 순결함과 사랑에 닮아가게 하시는 가운데, 바울은 자기 자신의 죄악을 더욱 크게 인식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R. C. Sproul, 편집자, The Reformation Stud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2015 Edition) (Orlando, FL: Reformation Trust, 2015), 2156.

에베소서 3:8 모든 성도 중에 지극히 작은 자보다 더 작은 나에게 이 은혜를 주신 것은 측량할 수 없는 그리스도의 풍성함을 이방인에게 전하게 하시고 3:8 Although I am less than the least of all God's people, this grace was given me: to preach to the Gentiles the unsearchable riches of Christ,

3:8 evangelism, Call to Evangelize—Paul always reveled in his call to reach the lost for Christ. In principle, that call comes to every believer. We thus should revel in the fact we can share the gospel and help others to our Lord. We are not worthy; it all comes through grace. 전도하라는 부르심 : 바울은 그리스도를 위해 잃어버린 자들에게 찾아가라 라는 부르심을 항상 즐거워했습니다. 원치적으로 부르심은 모든 신자들에게 해당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복음을 나누고 다른 사람들이 주님께 오도록 도울 수 있다는 것을 기뻐해야 합니다. 우리는 여기에 합당하지 않습니다. 이 모든 것은 은혜를 통해서 오는 것입니다. 

Holman Bible Publishers, CSB Disciple’s Study Bible: Notes (Nashville, TN: Holman Bible Publishers, 2017), 1834–1836.

 

4. 찬양에 대한 묵상

이 곡이 너무나 아름다운 이유는, 말씀의 그 깊은 이해를 탁월하게 잘 연결하였기 때문이다. 단 한 곡의 찬양을 통해서, 성도가 어떤 존재인가, 성도는 무엇을 위해서 존재하는가, 그리고 그 삶의 궁극적인 목적이 무엇인가를 분명하게 감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바울 사도는 자신을 죄인 중에 괴수라고 부른다. 이것은 바울의 성숙한 내면 속에서 경험하는 자신의 죄인됨의 깊은 각성이다. 하나님과 더 가까워질 수록, 성도는 자신이 얼마나 죄로 가득 찬 존재인가를 더 깊이 깨닫게 된다. 그리고 역설적으로 그러한 자신을 구원한 십자가와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에 더욱 감격하게 되는 것이다.

바울 사도는 자신의 삶 자체 그리고 죽음 보다 더 중요한 것을 발견하였다. 모든 인간은 자신의 생명을 가장 소중한 것으로 여기지만, 바울 사도는 자신의 삶을 통해서 오직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전해지기를 원했다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위대하심과 아름다움이 자신을 통해서 나타나기를 원했고 오직 그것을 위하여 전력질주 하였다.

십자가로 구원 받은 모든 성도 역시, 우리 안에 그리스도께서 살아 계시는 사람들이다. 우리는 그리스도와 신비하게 연합되어 있으며,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인도하시도록 해야 한다. 우리의 언어와 행동과 삶의 모든 결과들 속에서, 오직 예수 그리스도께서 드러나셔야 한다. 이것은 우리의 마땅히 할 일이지만, 그러나 놀랍게도 아버지 하나님께서는 반드시 우리를 착하고 충성된 종이라고 칭찬하실 것이다. 이 찬양을 통해서 성도의 참된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고, 이것을 위하여 힘써 달려가시는 모든 성도님들 되시기를 기도한다.

* 삶으로 드리는 찬양 전체 묵상 모음
https://jungjinbu.blogspot.com/2022/06/1_30.html


*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고, 커피 한잔 기부를 통해
정진부 목사와 페이스 피아노를 응원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buymeacoffee.com/jungjinbu5

2022년 8월 7일 일요일

삶으로 드리는 찬양 (92) - 모든 상황 속에서

 

1. 가사 살펴보기

모든 상황 속에서 주를 찬양할지라
그는 너의 큰 상급 큰 도움이시라
주의 얼굴 구할 때 주의 영을 부으사
크신 사랑 안에서 주를 보게 하소서

내 영혼이 확정되고 확정되었사오니
믿음의 눈 들어 주를 바라봅니다
내 영혼이 확정되고 확정되었사오니
믿음의 눈 들어 주를 바라봅니다 

주를 찬양할 때 주의 나라 이미 임했네
그 영원한 나라 보게 하소서 


2. 곡 소개

곡은, 다윗의 고백인 시편 57편을 배경으로 하는 곡이다. 이 곡은, 환난 중에 있는 성도의 진정한 도움은 여호와 하나님이시며, 모든 상황 속에서 마음을 확정하여서 하나님을 구하고 주님을 바라볼 때에 하나님께서 반드시 도우실 것이라는 믿음의 확신을 담은 탁월한 곡이다.

* 6개월 기도하고 30분만에 만든 ‘모든 상황 속에서’

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184985


3. 말씀으로 바라보기

시편 57:1 하나님이여 내게 은혜를 베푸소서 내게 은혜를 베푸소서 내 영혼이 주께로 피하되 주의 날개 그늘 아래에서 이 재앙들이 지나기까지 피하리이다 57:1 Have mercy on me, O God, have mercy on me, for in you my soul takes refuge. I will take refuge in the shadow of your wings until the disaster has passed.  57:2 내가 지존하신 하나님께 부르짖음이여 곧 나를 위하여 모든 것을 이루시는 하나님께로다 57:2 I cry out to God Most High, to God, who fulfills his purpose for me. 57:7 하나님이여 내 마음이 확정되었고 내 마음이 확정되었사오니 내가 노래하고 내가 찬송하리이다 57:7 My heart is steadfast, O God, my heart is steadfast; I will sing and make music.

57:1 Be merciful. Be gracious or show undeserved favor. my soul trusteth in thee. I take refuge in Thee. shadow of thy wings. An image expressing safety and protection, either by the wings of a parent bird (Deut. 32:10–12) or by the wings of the cherubim overshadowing the mercy seat (Ex. 25:20). make my refuge. Same word translated trusteth. 주의 날개 그늘 아래에서 : 이것은 부모 새의 날개 혹은 속죄소를 덮는 그룹들의 날개를 의미하는 것인데, 안전함과 보호를 표현하는 이미지입니다.

57:7 My heart is fixed. My thoughts, desires, and will are firmly focused on the Lord (78:7–8, 37; 108:1; 112:7). 마음이 확정되었고 : 나의 생각, 갈망들 그리고 의지가 주님께 확고하게 집중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Joel R. Beeke, Michael P. V. Barrett, and Gerald M. Bilkes, eds., The Reformation Heritage KJV Study Bible (Grand Rapids, MI: Reformation Heritage Books, 2014), 807.

57:7 heart is steadfast. Psalmist confidently expects God to intervene. Repetition surrounds the source of his confidence: God. Luth: “So then, before a person begins to pray, he should examine and probe himself to ascertain whether he believes or doubts that his prayer will be fulfilled. If he finds that he doubts or is uncertain, or that he prays at random, the prayer is nothing” (AE 42:76). 마음이 확정되었고 : 시편 기자는 하나님께서 개입하실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습니다. 반복은 그의 확신의 근원인 하나님을 둘러싸고 있는 것입니다. 루터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러므로 사람이 기도를 시작하기 전에, 자신의 기도가 이루어지리라는 것을 믿거나 혹은 의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자신을 살펴보고 조사해야 합니다. 스스로가 의심하거나 혹은 불확실하거나 마구잡이로 기도하는 것을 발견한다면, 기도는 아무런 소용이 없는 것입니다”       

Edward A. Engelbrecht, The Lutheran Study Bible (St. Louis, MO: Concordia Publishing House, 2009), 902.

시편 22:3 이스라엘의 찬송 중에 계시는 주여 주는 거룩하시니이다 22:3 Yet you are enthroned as the Holy One; you are the praise of Israel.

22:3–5 These verses identify the psalmist with the nation of Israel and more specifically with Yahweh’s covenant faithfulness to his people as shown by his deliverance of them time and time again (78:53; 107:6). Enthroned on the praises is unusual, picturing the Lord’s dwelling above the cherubim on the ark of the covenant (80:1; 99:1). However, in this instance it is the praise of God’s people that is the focus because the Lord is the praise of Israel (Dt 10:21). 구절은 시편 기자를 이스라엘의 민족과 동일시합니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여호와께서 거듭하여서 그들을 구원하심으로 보여주신 것처럼 그의 백성에 대한 언약의 신실함을 나타냅니다. 찬송 중에 계시는 주여 : 찬양 중에 거하시는 것은 이례적인 것이며, 언약궤 그룹들 위에 주님이 거하시는 모습을 생각나게 합니다. 그러나 경우에 초점이 되는 것은 하나님의 백성의 찬양입니다. 왜냐하면 여호와는 이스라엘의 찬양이시기 때문입니다.

Kevin R. Warstler, “Psalms,” in CSB Study Bible: Notes, ed. Edwin A. Blum and Trevin Wax (Nashville, TN: Holman Bible Publishers, 2017), 835.

누가복음 17:20 바리새인들이 하나님의 나라가 어느 때에 임하나이까 묻거늘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하나님의 나라는 볼 수 있게 임하는 것이 아니요 17:20 Once, having been asked by the Pharisees when the kingdom of God would come, Jesus replied, "The kingdom of God does not come with your careful observation, 17:21 또 여기 있다 저기 있다고도 못하리니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 17:21 nor will people say, 'Here it is,' or 'There it is,' because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17:20 The Pharisees apparently want to know what cosmic signs will precede the coming of the kingdom so that they can be sure not to miss it. Jesus replies that the kingdom will not come in ways that can be observed. In light of vv. 21–37, he probably means that the kingdom will come quietly, evident only in the change in people’s lives. 바리새인들은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기 전에 어떤 우주적인 표징이 있을지 알고 싶어하고, 그들이 그것을 놓치지 않고 싶어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하나님의 나라가 관찰할 수 있는 방식으로는 오지 않을 것이라고 대답하셨습니다. 아마도 예수님께서는 하나님의 나라가 사람들의 삶의 변화 속에서만 분명하게 나타나도록, 조용하게 올 것이라고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17:21 The kingdom of God is in the midst of you, in the person of Jesus and in the reign of God shown in those who are already following Jesus.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 : 하나님의 나라는 예수님의 인격 안에, 그리고 이미 예수님을 따르는 자들에게 보여지는 하나님의 통치 안에 있는 것입니다.

J. I. Packer, Wayne Grudem, and Ajith Fernando, eds., ESV Global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2012), 1455.


4. 찬양에 대한 묵상

신앙 생활에 있어서 찬양은 너무나 중요한 것이다. 찬양은 기쁠 때만 하는 것이 아니라 고난 가운데 혹은 내 앞이 막막한 가운데 있을 때에라도 하는 것이다. 다윗은 사울에게 억울하게 쫓기고 굴에 숨어 있는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고 확신하면서 하나님을 가까이 하기 위해서 힘을 썼다.

우리의 마음이라는 것은, 매우 불안정한 것이다. 우리는 지식적으로 신앙에 대해서 많은 것을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 알고 믿는 있는 바에 대하여 순간 순간 확고하게 마음에 새기고 기억하고 붙들어야 한다. 다윗은 고난 중에서 자신의 마음이 심히 흔들릴 때에, 자신의 마음을 확정하고 또 확정하기를 힘써 노력했고 하나님 앞에 그 결단을 담대하게 고백하였다.

이 찬양의 탁월한 점은, 성도가 마음을 확정하고 하나님을 붙들고 힘을 쓸 때에 하나님의 나라가 바로 그 순간에 현재에 임하는 것을 선포했다는 것이다. 하나님을 붙드는 자들에게 하나님의 임하심이 임하는 것이 너무나 당연한 것이다. 우리가 고난 가운데에서도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이유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붙들고 계시고 다스림을 확신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하나님의 다스림을 더욱 추구하며 살아가야 한다. 그것이 바로 성도가 걸어가야 할 마땅한 믿음의 길이다

삶으로 드리는 찬양 프로그램 전체 묵상 모음
https://jungjinbu.blogspot.com/2022/06/1_30.html

추천 글

로고스 프로그램으로, 평신도 성경 공부하기 with 스터디 바이블 노트 Study Bible Notes (2023년 9월 업데이트)

주의 말씀의 맛이  내게 어찌 그리 단지요  내 입에 꿀보다 더 다니이다 (시 119:103) 누구나 성경을 열심히 읽으라는 말은 듣습니다. 그리고 성경이 꿀보다 달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

리딩 크리스천 독서 묵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