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3일 화요일

삶으로 드리는 찬양 (216) - 아침에 나로

 


1. 가사 살펴보기

아침에 나로 주의 인자한 말씀을 듣게 하소서

내가 주를 의뢰합니다
나의 다닐 길을 인도하소서

내가 내영혼을 주께
내 영혼을 주께 드립니다

 

2. 곡 소개

곡은, 꿈이 있는 자유 3집인 아침 묵상에 수록된 곡이다. 시편 143 8절 말씀을 그대로 가져와, 오직 주님의 말씀을 듣고 주님의 인도하심을 받겠다는 신앙의 고백을 담은 아름다운 곡이다.

 

3. 말씀으로 바라보기

143:8 아침에 나로 하여금 주의 인자한 말씀을 듣게 하소서 내가 주를 의뢰함이니이다 내가 다닐 길을 알게 하소서 내가 내 영혼을 주께 드림이니이다

다윗은 143 3절에서 죽음에 가까운 패배를 암시합니다. 그런 맥락에서 8절은 부활의 희망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습니다. 다윗은 여호와께 아침에 그분의 인자(헤세드)를 듣게 해달라고 간구합니다. 그것이 잠에서 깨어나는 것이든, 죽음에서 일어나는 것이든, 다윗은 아침에 가장 먼저 하나님의 사랑을 듣기를 원합니다. 왜냐하면 그는 여호와를 신뢰하기 때문입니다.

James M. Hamilton Jr., Psalms, ed. T. Desmond Alexander, Thomas R. Schreiner, and Andreas J. Köstenberger, vol. 2, Evangelical Biblical Theology Commentary (Bellingham, WA: Lexham Academic, 2021), 482.

90:14 아침에 주의 인자하심이 우리를 만족하게 하사 우리를 일생 동안 즐겁고 기쁘게 하소서

아침이라는 것은, 저녁 이후에 오는 새로운 삶을 의미합니다. 이 기도의 궁극적인 성취는 종말의 부활에서 이루어집니다.

D. A. Carson, ed.,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985.

25:4 여호와여 주의 도를 내게 보이시고 주의 길을 내게 가르치소서 25:5 주의 진리로 나를 지도하시고 교훈하소서 주는 내 구원의 하나님이시니 내가 종일 주를 기다리나이다

주님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그분의 인도를 구합니다. , 어떤 삶의 방식이 그분을 기쁘시게 하는지, 그리고 그들의 특정한 상황에 그분의 명령을 어떻게 적용할지 배우고 싶어합니다.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968.

23:46 예수께서 큰 소리로 불러 이르시되 아버지 내 영혼을 아버지 손에 부탁하나이다 하고 이 말씀을 하신 후 숨지시니라

예수님의 마지막 말씀은, 시편 31 5절에서 인용된 것으로, 이는 고난 받는 의로운 사람이 드리는 신뢰의 기도입니다. 예수님은 이 순간에 그 믿음을 실제로 행하신 것입니다.

Earl D. Radmacher, Ronald Barclay Allen, and H. Wayne House, The Nelson Study Bible: New King James Version (Nashville: T. Nelson Publishers, 1997), Lk 23:46.

 

4. 찬양에 대한 묵상

이 찬양은, 다윗의 시편을 가지고 만들어진 깊고도 아름다운 찬양이다. 이 찬양은 다윗의 마음을 그대로 담고 있는데, 그는 매일 아침마다 하나님 안에서 새로운 소망을 기대한 것이다. 비록 다윗의 삶에는 여러 어려움이 있었고 대적들도 넘치게 있었지만, 그는 하나님께서 그에게 새로운 날을 주시고 자신을 인도하실 것을 확신하며 믿음의 고백을 올려드린 것이다.

다윗은 자신의 영혼을 주님께 드린다 라고 고백하고 있다. 이것은 자신의 영혼을 주님께 맡긴다 라는 의미이다. 다시 말해서, 인생이 스스로의 능력에 달려 있지 않고, 오직 하나님께 달려 있음을 믿음으로 고백하면서 하나님께 자신을 맡기는 것이다. 이것은 하나님이 우리의 유일한 주인이시며 주권자이심을 고백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나님 앞에서 성도가 가질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태도인 것이다.

이 찬양을 부를 때마다, 특별히 아침에 주님을 묵상하며 그분을 찾을 때마다, 우리의 마음 가운데 하나님을 향한 신뢰가 가득하기를 원한다. 신뢰할 수 있는 유일한 한 분인 주님을 찾고, 그분의 진리의 말씀을 듣고나의 인생의 모든 길을 주님께 맡기기를 원한다. 그리고 우리가 눈뜨게 될 영원한 아침, 주님의 품에 안겨 있을 그 영원한 천국을 소망하면서, 우리의 삶 전체를 하나님께 올려드리고 신뢰하며 인생의 길을 걸어가시는 모든 성도님들 되시기를 기대한다.

삶으로 드리는 찬양 전체 묵상 모음
https://jungjinbu.blogspot.com/2022/06/1_30.html    

2025년 5월 6일 화요일

삶으로 드리는 찬양 (215) - 눈을 들어 주를 보라


1. 가사 살펴보기

눈을 들어 주를 보라 주의 영광을 보라
눈을 들어 주를 보라 주의 영광을 보라

주는 빛 거룩과 진리 능력의
주의 영광 나타나셨네 

선포하라 선하신 주 주의 인자는 영원함이라
선포하라 선하신 주 주의 인자는 영원함이라

 

2. 곡 소개

곡은, 현대적인 워십 운동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는 Chris BowaterSee His Glory의 번안곡이다. 이 곡은, 성도의 평생 동안에 추구해야 할 영적인 태도를 알려준다. 우리에게 이미 드러내신 주님의 영광을 바라볼 것과, 영원한 주님의 인자를 선포할 것을 권면하는 아름다운 곡이다.

 

3. 말씀으로 바라보기

6:1 웃시야 왕이 죽던 해에 내가 본즉 주께서 높이 들린 보좌에 앉으셨는데 그 옷자락은 성전에 가득하였고 6:2 스랍들이 모시고 섰는데 각기 여섯 날개가 있어 그 둘로는 자기의 얼굴을 가리었고 그 둘로는 자기의 발을 가리었고 그 둘로는 날며 6:3 서로 불러 이르되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 만군의 여호와여 그의 영광이 온 땅에 충만하도다 하더라

히브리어에서 반복은 최상급을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절대적으로 거룩하신 분이라는 뜻입니다. 영광이라는 말은 중요함과 무게감을 내포합니다. 땅의 모든 영광은 궁극적으로 사람이 아닌 여호와께 속한 것입니다.

D. A. Carson, ed.,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1178.

이사야가 하나님의 영광에 대한 호나상은, 그리스도 안에서 나타날 하나님의 영광을 예표합니다.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1251.

1:14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의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

은혜가 진리가 충만하더라 라는 말씀은, 예수님의 영광을 묘사하는 것이며 출애굽기 34 6절에 나오는 여호와 하나님의 인자와 진실과 병행됩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영광이 가진 선하심의 본질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사랑은 은혜로운 언약적 사랑을 의미하며, 진실함은 신실한 말씀, 즉 진리를 뜻합니다.

D. A. Carson, “The Gospels and Acts,”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1892.

고후 3:18 우리가 다 수건을 벗은 얼굴로 거울을 보는 것 같이 주의 영광을 보매 그와 같은 형상으로 변화하여 영광에서 영광에 이르니 곧 주의 영으로 말미암음이니라

그리스도인들이 복음의 거울에 비친 주님의 영광을 바라볼 때 그들은 같은 형상으로 변화됩니다. 종교 개혁자들과 그들을 따르는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두 가지 유익, (1) 칭의와 (2) 변화에 대해서 말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경험하고 믿음으로 그분을 바라볼 때에, 그들은 그분의 형상으로 변화됩니다. 영광에서 영광에 이른다는 말씀은, 변화가 점진적인 성화를 통해 진행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는 성령님의 사역을 통해 신자들의 삶에 이러한 변화를 일으키십니다.

Joel R. Beeke, Michael P. V. Barrett, and Gerald M. Bilkes, eds., The Reformation Heritage KJV Study Bible (Grand Rapids, MI: Reformation Heritage Books, 2014), 1674.

136:1 여호와께 감사하라 그는 선하시며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4. 찬양에 대한 묵상

이 곡은, 성도가 마땅히 추구해야 할 평생의 태도를 그려낸 곡이다. 우리가 하나님의 영광을 바라보아야 하는 것은, 오직 주님만이 위대하신 분이심을 깨닫기 위해서이다. 오직 여호와 하나님 한분만이 온 세상을 다스리시며, 그분의 뜻대로 이 세상을 이끌어 가신다. 그러므로 성도는 그분의 위대하심을 늘 묵상하며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삶을 살아야 한다.

이러한 하나님의 영광은, 성부 하나님의 독생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우리에게 온전히 보여진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신 분이시다. 그러므로 신약의 관점에서 이 곡을 이해하자면, 주의 영광을 본다는 것은 곧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보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 볼 때에, 우리는 후렴의 가사처럼 그리고 고린도후서 3장의 말씀처럼 예수 그리스도 안에 나타난 주님의 인자의 영원함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고 감격하게 된다. 모든 죄인은 영적으로 죽었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을 성령 하나님께서 우리의 영혼 가운데 비추심으로 죄인이 다시 태어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의 아름다움을 주목하고, 그것을 묵상하고 붙들 때에, 그분의 선하심과 인자하심 그리고 그분의 거룩하심을 닮아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찬양을 통해서, 우리에게 온전히 나타나신 하나님의 영광, 예수 그리스도를 깊이 묵상하기를 원한다. 이 찬양을 부르면서, 나의 삶을 통해서 오직 주님만이 영광 받으시기를, 그리고 주님께 감사하며 주님을 닮아가기로 더욱 결단하고 믿음으로 살아가시는 모든 성도님들 되시기를 기대한다.

 삶으로 드리는 찬양 전체 묵상 모음
https://jungjinbu.blogspot.com/2022/06/1_30.html     

2025년 4월 29일 화요일

삶으로 드리는 찬양 (214) - 내 맘을 엽니다

 

1. 가사 살펴보기

사랑의 예수님 나를 찾아오셔서
십자가로 대속 하사 내 마음 두드리네 

오 사랑의 예수님 지금 내 맘을 엽니다
내 안에 거하셔서 나의 생명 되소서

 

2. 곡 소개

곡은, 팀룩워십의 Invitatino 앨범에 수록된 곡이다. 이 곡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죄인을 찾아오시며, 그분에게 마음을 여는 자에게 생명이 되신다는 기독교의 핵심 진리를 드러내는 아름다운 곡이다.

 

3. 말씀으로 바라보기

3:20 볼지어다 내가 문 밖에 서서 두드리노니 누구든지 내 음성을 듣고 문을 열면 내가 그에게로 들어가 그와 더불어 먹고 그는 나와 더불어 먹으리라

예수님께서는 교회 안으로 억지로 들어오지 않으십니다. 그러나 회중 가운데 어떤 한 사람이라도 그분의 뜻에 순종함으로 문을 연다면, 예수님께서는 그에게 들어가 함께 먹을 것입니다. , 그분의 초대에 응답하는 신자들과 친밀한 교제를 나누실 것입니다.

Tony Evans, The Tony Evans Study Bible (Nashville, TN: Holman Bible, 2019), 1514.

31:33 그러나 그 날 후에 내가 이스라엘 집과 맺을 언약은 이러하니 곧 내가 나의 법을 그들의 속에 두며 그들의 마음에 기록하여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될 것이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새 언약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율법을 그의 백성들의 마음과 생각에 기록하시겠다는 약속을 포함합니다. 이는 돌판에 기록된 율법을 이스라엘에게 주셨던 옛 언약과 대조됩니다. 새 언약은 그들의 내면을 변화시켜 실제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신명기 30장은 이미 이스라엘의 불순종으로 인해 옛 언약이 결국 저주와 포로로 끝날 것을 예상하고 있었으며, 그 후에 하나님이 그의 백성의 마음을 변화시키시고 새롭게 하실 것(신명기 30:6)을 예고하고 있었습니다.

새 언약은 그리스도의 피 흘리심을 통해 시작되었으며, 옛 언약의 목적을 성취합니다. 성령의 사역을 통해 하나님의 백성은 주님을 알게 되며, 그리스도께 반응하게 됩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의 죄는 용서받고 우리의 악은 더 이상 기억되지 않습니다.

D. A. Carson, ed.,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1349.

15:4 내 안에 거하라 나도 너희 안에 거하리라 가지가 포도나무에 붙어 있지 아니하면 스스로 열매를 맺을 수 없음 같이 너희도 내 안에 있지 아니하면 그러하리라

2:20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자신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

 

4. 찬양에 대한 묵상

이 찬양은, 영접송이라는 제목처럼 예수 그리스도를 마음에 모시는 간절한 고백을 담고 있다. 기독교 신앙은 단순히 종교적인 교리를 믿는 것이 아니라, 살아 계신 예수 그리스도를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분은 모든 사람들의 마음 밖에서 그 마음의 문을 두드리고 계시며, 누구든지 그분의 음성을 듣고 마음의 문을 열면 그분의 은혜를 입고 그분께서 주시는 영원한 생명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놀라운 일은, 하나님께서 이미 구약에서부터 약속하신 일이 이루어진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궁극적으로 그분의 백성의 마음에 하나님의 법을 두시고, 그들이 마음에서부터 하나님을 사랑하며, 그분의 법을 따르게 하실 것을 말씀하신 것이다.

그러므로 인생에 가장 중요한 결단은, 지금 예수님을 향해 마음을 여는 것이다. 십자가에서 나를 대신해서 죽으신 예수 그리스도를 내 마음으로 믿는 것이다. 그리고 주님이 기뻐하시는 참된 성도는, 예수님을 향해서 자신의 마음을 언제나 활짝 여는 사람이다. 예수님이 내 마음에 계심을 언제나 의식하고 기뻐하고 감사하는 사람이다. 그리고 내 안에 계신 예수님을 의지하면서 살아가는 사람이다.

성도의 인생이란, 주님과 동행하면서 그분과의 깊은 영적인 교제를 추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때로는 죄로 인해서 우리의 마음이 주님으로부터 돌아서더라도, 그분을 향해 우리의 마음을 새롭게 돌이켜야 한다. 그리고 오직 예수님만이 우리의 삶에 풍성하게 드러나시는 믿음의 길을 걸어야 하는 것이다. 이 찬양을 부를 때 마다, 내 안에 계신 주님을 기뻐하면서 더욱 그분과의 친밀함을 깊이 누리시는 성도님들 되시기를 기대한다.

 삶으로 드리는 찬양 전체 묵상 모음
https://jungjinbu.blogspot.com/2022/06/1_30.html    

2025년 4월 23일 수요일

삶으로 드리는 찬양 (213) - 충분한 은혜

 


1. 가사 살펴보기

충분한 은혜 연약한 모습도
자랑이 되시게 하는 그리스도의 능력

놀라운 은혜 그 크신 사랑이
죄로 죽은 우리 모습 다시 일으켜 주시네 

주의 은혜 말로 다 담을 수 없는
우리를 향한 아버지의 사랑

예수의 이름 그 이름 찬양해
부족함 없는 충분한 주의 은혜

 

2. 곡 소개

찬양은, 아이자야씩스티원 찬양팀의 곡이다. 이 곡은, 하나님의 은혜의 충분함과 놀라움에 대해서 깊은 고백을 담아낸 곡이다. 죽은 영혼을 살리시며 성도의 연약함을 뛰어넘게 하시는 하나님의 절대적인 은혜를 드러내는 아름다운 찬양이다.

 

3. 말씀으로 바라보기

고후 12:9 나에게 이르시기를 내 은혜가 네게 족하도다 이는 내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하여짐이라 하신지라 그러므로 도리어 크게 기뻐함으로 나의 여러 약한 것들에 대하여 자랑하리니 이는 그리스도의 능력이 내게 머물게 하려 함이라

‘내 은혜가 너에게 족하다’ 라는 말씀은, 거짓 성경 교사들과 고린도 성도들이 가지고 있던 근본적인 복음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반영하기 때문에, 고린도후서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 내용입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능력’이라는 것은 그리스도인들이 인생에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자신의 약함이나 고난이나 고통을 피하거나 탈출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바울의 강조점은, ‘하나님의 능력’은 그러한 시련을 피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어려운 시기 가운데에서도 성도가 사랑을 베풀며, 세상을 치유하며 섬기는 신실한 삶을 살도록 하나님께서 능력을 주신다는 것입니다.

Lyman Coleman, ed., Life Connections Study Bible (Nashville, TN: Holman Bibles, 2019), 1871.

2:4 긍휼이 풍성하신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신 그 큰 사랑을 인하여 2:5 허물로 죽은 우리를 그리스도와 함께 살리셨고 너희는 은혜로 구원을 받은 것이라

은혜로 너희가 구원을 받았느니라. 우리는 오직 은혜(sola gratia)로 구원을 받습니다. 구원의 은혜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위대한 긍휼과 사랑에서 비롯되며, 우리 안에 어떤 자격이 있어서가 아닙니다. 구원은 하나님의 능력으로 주어지는 것이며, 우리의 어떤 좋은 결정이나 행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그리스도와 연합하여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는 초자연적인 부활이기 때문입니다.

Joel R. Beeke, Michael P. V. Barrett, and Gerald M. Bilkes, eds., The Reformation Heritage KJV Study Bible (Grand Rapids, MI: Reformation Heritage Books, 2014), 1704–1705.

요일 4:9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에게 이렇게 나타난 바 되었으니 하나님이 자기의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심은 그로 말미암아 우리를 살리려 하심이라

죄에 대한 심판은 십자가에서 이루어졌는데, 이는 하나님의 사랑의 최고의 본보기입니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는 죄인을 대신하여 사랑하는 아들에게 진노를 쏟으셨기 때문입니다.

"독생자"라는 표현은 신약 전체에서 절반 이상을 요한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요한은 항상 이 단어를 그리스도를 가리켜 사용하며, 성부와의 독특한 관계, 그분의 선재성, 그리고 피조물과의 구별됨을 드러냅니다. 이 단어는 그리스도의 유일무이함, 곧 그분이 단 하나뿐인 존재임을 강조합니다. 이분이야말로 하나님 아버지께서 세상에 보내신 가장 위대한 선물이시며, 그를 통해 우리가 영생을 얻게 되었습니다.

John F. MacArthur Jr., The MacArthur Study Bible: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ashville, TN: Thomas Nelson Publishers, 2006), 1 Jn 4:9.

 

4. 찬양에 대한 묵상

이 찬양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드러난 하나님의 은혜의 절대성에 대해서 탁월하게 드러낸 곡이다. 성도의 구원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우리는 모두 영혼이 죽었던 이들이지만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주시며 그분을 믿게 하시며 다시 태어나게 하신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공로가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은혜와 신실하심, 그리고 우리를 위하여 죽으시고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의 은혜를 통해서 구원 받은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하나님의 은혜는 우리가 살아있는 동안 평생동안 지속된다. 우리는 한 없이 연약한 존재들이지만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연약함을 극복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능력을 베푸신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성도의 구원을 이루어 가시는 과정이며, 그리스도와 연합을 통해서 성령의 역사를 통해서 우리를 붙드시며 인도해 가시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찬양을 부르면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베푸신 은혜가 얼마나 큰지를 깊이 묵상하기를 원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소중함 그분의 독보적인 가치를 이해하고 붙들면서, 고된 삶을 살아가게 하시는 하나님을 의지하며 믿음으로 우리의 삶을 전진하시는 성도님들 되시기를 기대한다.

 삶으로 드리는 찬양 전체 묵상 모음
https://jungjinbu.blogspot.com/2022/06/1_30.html    

2025년 4월 15일 화요일

삶으로 드리는 찬양 (212) - 언제나 어떤 상황에서도

 


1. 가사 살펴보기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내 삶을 채우고
끝없는 고난에 주저앉고 싶을 때
눈을 들어 주를 바라보네 

내 믿음의 고백과 내 감사의 이유가
나 가진 것 상황에 있지 않으니
내 삶에 일어나는 모든 일들
주의 손에 있음을 난 믿네 

꽃길 아닌 가시밭길 좋은 길 아닌 좁은 길
그럼에도 이 길 끝에 소망이 있기에 (생명이 있기에) 

언제나 어떤 상황에서도 하나님은 옳으십니다
실수가 없으신 신실하신 하나님
주의 선하심을 난 믿네 

언제나 어떤 상황에서도 하나님은 옳으십니다
실수가 없으신 신실하신 하나님
주의 완전하심 난 믿네

 

2. 곡 소개

곡은 피아 워십의 ‘Blessed’ 앨범에 수록된 곡이다. 이 곡은, 비록 고난 속을 걸어가더라도, 선하시고 신실하신 하나님이 계시기 때문에 인생을 포기하지 않으며 믿음으로 살아가겠다는 성도의 진실하고 또 담대한 고백을 담고 있는 아름다운 찬양이다.

 

3. 말씀으로 바라보기

145:17 여호와께서는 그 모든 행위에 의로우시며 그 모든 일에 은혜로우시도다

의로우시고 인자하시다는 이 두 속성의 결합은 하나님의 성품을 강력하게 드러냅니다. 하나님의 의로우심은 그분의 공정한 판단을 이끌어 내며, 하나님의 은혜는 그분의 구원의 역사와 용서의 행동으로 이어집니다. 하나님은 사람의 의도와 목적에 대한 오류가 없는 통찰에 따라 보존하시기도 하고 멸하시기도 하십니다.

Earl D. Radmacher, Ronald Barclay Allen, and H. Wayne House, The Nelson Study Bible: New King James Version (Nashville: T. Nelson Publishers, 1997), Ps 145:17.

18:30 하나님의 도는 완전하고 여호와의 말씀은 순수하니 그는 자기에게 피하는 모든 자의 방패시로다

32:4 그는 반석이시니 그가 하신 일이 완전하고 그의 모든 길이 정의롭고 진실하고 거짓이 없으신 하나님이시니 공의로우시고 바르시도다

반석이라는 단어는 하나님의 안정성과 영원성을 나타내며, 강조를 위해 구절의 맨 앞에 배치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어지는 표현들은 이스라엘의 반석 되시는 하나님의 속성들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이것은 이 노래의 주요 주제 중 하나이며, 변덕스러운 백성과는 대조되는 하나님의 불변하심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John F. MacArthur Jr., The MacArthur Study Bible: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ashville, TN: Thomas Nelson Publishers, 2006), Dt 32:4.

8:18 생각하건대 현재의 고난은 장차 우리에게 나타날 영광과 비교할 수 없느니라

1:12 시험을 참는 자는 복이 있나니 이는 시련을 견디어 낸 자가 주께서 자기를 사랑하는 자들에게 약속하신 생명의 면류관을 얻을 것이기 때문이라

시험을 견디는 믿는 자는 예수님을 사랑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심판대에서 생명의 면류관을 받게 될 것입니다. 성경은 믿는 자가 받을 상급을 여러 생생한 이미지로 묘사합니다. 예를 들어 귀한 보석들, 의의 옷, 그리고 면류관들 등이 그것입니다.

Earl D. Radmacher, Ronald Barclay Allen, and H. Wayne House, The Nelson Study Bible: New King James Version (Nashville: T. Nelson Publishers, 1997), Jas 1:12.

 

4. 찬양에 대한 묵상

기독교 신앙은 결코 순탄한 길이 아니다. 모든 성도는 반드시 고난의 길을 걸어갈 수 밖에 없다. 그리고 그런 상황 속에서 낙심하고 신앙의 삶을 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이 찬양은, 이러한 성도의 현실을 정직하게 드러내면서 마음을 위로해준다.

이 찬양은, 이러한 성도의 현실을 뛰어넘을 수 있는 것은 모든 것을 섭리하시고 다스리시는 하나님을 믿는 것임을 보여준다. 이 찬양의 고백처럼, 그리고 진리의 말씀처럼, 하나님께서는 모든 행위에 의로우시며 또한 은혜로우시다. 그분은 실수가 없으시며 완전하신 분이시다. 그리고 우리가 현재의 고난을 넘어서 나중에 받게 될 영광과 상급이라는 것은, 지금 우리가 경험하는 것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영광스러운 것이다.

특별히 고난 주간을 지나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영광스러운 구원을 이루어 내신 것처럼,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삶을 통해서도 하나님의 영광을 반드시 드러내실 것이다. 이러한 성경적인 신앙으로, 그리고 확고한 믿음으로 용기 가운데 삶을 살아가시는 모든 성도님들 되시기를 기대한다

 삶으로 드리는 찬양 전체 묵상 모음
https://jungjinbu.blogspot.com/2022/06/1_30.html    

2025년 4월 3일 목요일

목회의 은혜를 나누며 (14) - 우리 모두가 선교사다 (51주년 선교 부흥회를 마치고)

 


* 볼티모어교회 51주년 선교부흥회 "우리 모두가 선교사다"

볼티모어교회는 참 좋은 교회입니다. 그 이유는, 끊임없이 교회의 본질을 붙들고 그것을 향해서 추구해 나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성도님들 모두가 이러한 성경적 교회를 꿈꾸고 있다는 점에서 언제나 감사한 마음입니다. 

담임 목사로서 처음 맞이하는 선교의 달, 그리고 선교 부흥회는 의미가 컸습니다. 교회의 영적인 분위기에 저도 동참하면서, 한달동안 집중적으로 복음 전파에 대해서 함께 고민하고 말씀을 나눌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특별히 휄로십 교회의 김대영 목사님을 모시고 부흥회의 귀한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참으로 감사했습니다. 

김목사님의 세번의 말씀을 들으면서 마음이 뜨거워지는 것을 느꼈습니다. 선교사로 헌신하시고 열정적으로 섬기신 시간들, 그리고 주님께서 목사님의 생명을 구하시고 계속적으로 복음으로 교회를 섬기게 하시는 모든 간증이 참 좋았습니다. 그리고 성도들의 인생의 목적에 대해서 "예수님을 듣지 못한 수 많은 사람들을,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는 일" 이라고 분명하게 정의해 주신 부분이 참 좋았습니다. 

그리고 하나님께 드리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라는 강력한 선포가 좋았습니다. 김대영 목사님과 조금만 대화를 해보아도, 얼마나 하나님께 헌신된 분인지를 알 수가 있었습니다. 마음으로 부터 느껴지는 목사님의 진심으로 참 좋았고, 그러한 진실함이 설교 가운데 묻어 나왔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합리성을 붙들고 살아가지만, 그러나 결국에는 하나님을 신뢰하고 그분을 믿음으로 자신의 생각을 뛰어 넘어 온전히 하나님께 드리는 사람이 되라고 강조하신 것은, 목사님의 지나온 진실한 삶과 겹치는 능력 있는 말씀의 선포였습니다. 

결정적으로 도전이 된 것은, "우리 모두가 선교사이다" 라는 선언이었습니다. 일상에 눌려서 살아가는 이민 교회 성도들을 향하여서, 선교는 특정한 사람에게만 주어진 사명이 아니라, 성도 모두에게 주어진 것임을 알려주시기 위해서 우리 모두가 선교사라고 강조하셨습니다. 이러한 사명의 선언을 통해서 성도님들도 마음에 은혜를 많이 받으셨지만, 저에게도 저의 정체성을 새롭게 정립할 수 있는 도전이 되었습니다. 

부흥회를 통해서 실질적인 전략도 제시해주셨는데, 그것은 로컬 처치로서 가지는 볼티모어교회의 역할에 대해서 강조해주신 부분입니다. 선교를 먼 거리에 있는 곳만 하려하지 말고, 바로 이 지역 사회 가운데 복음을 전파하는 역할을 감당하라고 강조하셨고, 저 역시 크게 공감하였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볼티모어교회를 바로 이 지역에 세우셨고, 분명히 주님의 뜻을 가지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이제 이러한 말씀과 연결된 지혜로운 전략을 세우고 그것을 실천해야 함을 분명하게 깨닫게 되었습니다. 

선교 부흥회를 허락하신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귀한 부흥회 그리고 선교의 달이 은혜 가운데 마치게 되어 또한 감사드립니다. 하나님께서 지금까지 그러하셨던 것처럼 앞으로도, 볼티모어교회를 주님의 뜻을 힘있게 추구해 나가는 아름다운 교회로 세워나가시기를 진심으로 기도합니다. 

Baltimore Church is a truly wonderful church. The reason is that it continuously holds on to the essence of the church and pursues it faithfully. I am always thankful that all the members dream of this kind of biblical church. 

This was my first Mission Month and Mission Revival as the senior pastor, and it was very meaningful. I was able to join in the spiritual atmosphere of the church and spend a month deeply reflecting on and sharing the message of the gospel. 

I’m especially thankful that we had the precious time of the revival with Pastor Daeyoung Kim from Fellowship Church. 

Listening to Pastor Kim’s three sermons, I felt my heart burning. His devotion as a missionary, his passionate ministry, and his testimonies of how the Lord saved his life and continues to use him to serve the church with the gospel were deeply touching. 

What stood out especially was his clear definition of the purpose of a believer’s life: “To reconcile the countless people who have not heard of Jesus with God.” 

His strong declaration that we must become people who offer ourselves to God was also powerful. Even a short conversation with Pastor Kim revealed his deep devotion to God. His sincerity could be felt from the heart, and that sincerity flowed through his preaching. 

Many people hold on to their own reasoning, but Pastor Kim emphasized that in the end, we must trust God, go beyond our own thoughts in faith, and become those who offer ourselves wholly to Him. His words were powerful because they reflected his true life journey. 

What challenged me the most was his declaration: “We are all missionaries.” To the members of the immigrant church who are burdened by daily life, he proclaimed that missions is not a task given only to certain people, but a calling given to every believer. Through this declaration of mission, many members were touched by grace, and it also challenged me to newly establish my own identity. 

Pastor Kim also presented a practical strategy during the revival, emphasizing the role of Baltimore Church as a local church. He encouraged us not to focus only on distant mission fields, but to carry out our role of spreading the gospel right here in our local community. I deeply agreed. God established Baltimore Church in this region, and He clearly has a purpose for it. Now I clearly realize that we must develop a wise strategy connected to this message and put it into practice. 

I give thanks to God for allowing this Mission Revival. I am also grateful that both the precious revival and Mission Month ended with much grace. Just as God has done so far, I sincerely pray that He will continue to build Baltimore Church into a beautiful church that boldly pursues His will.

* 볼티모어 교회 칼럼, 목회의 은혜를 나누며 모음
https://jungjinbu.blogspot.com/2025/02/blog-post.html

볼티모어에서의 6개월을 감사드리며 / I Will Trust in the Lord - Kirk Whalum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순간이 기적이지만, 하나님께서 더 특별히 인도하시는 때가 있습니다. 저와 저의 가족에게는 지난 반년이 그러했습니다. 하나님께서 볼티모어로 인도하셨고, 이제 6개월이 지났습니다. 

전화 통화 중에 어떤 분이 안부를 물으셨습니다. "목사님, 이제 좀 적응이 되 가시죠?" 사실 저는 이 대화를 나눌 때에도 이곳에서 얼만큼의 시간이 지났는지를 헤아리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혹시 그분이 민망하실까봐 대답은 자연스럽게 했습니다. "예, 잘 적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 자신을 보니 여전히 적응 중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해가 뜨기 전에 교회로 오고, 해가 지고 나서 집으로 돌아가는 것이 이제서야 약간 적응이 되었습니다. 설교를 한 주에 다섯편 정도를 해야 하고 또 가능한대로 심방을 해야하는 것도 이제서야 약간 적응이 되었습니다. 제 자신만 살피지 않고 가족들을 살피고 돌보는 것도 이제서야 약간 적응이 되었습니다. 제가 볼티모어 교회 담임 목사라는 것도, 그렇기 때문에 책임이 정말 크다는 것도 이제서야 아주 약간 적응이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는, 아직 충분히 적응이 되지는 않았습니다. 아내는 웃으면서 이야기하더군요, "담임 목회 한 6년 한 사람 같아" 칭찬해 주어서 참 고마웠습니다. 그런데 사실 속으로는 여전히 낯섭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충분히 적응이 되지 않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저에게 주어진 것을 지나치게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고, 언제나 새로운 마음으로 감당하는 것이 더 좋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하루가 주어지고, 새로운 각오로 감당하고, 실패해도 넘어지는 것이 저의 인생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시간이 중첩되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아내를 처음 만난 스무살 중반의 어린 시절부터, 미국에서의 생활과 사역과 고단했던 시간들과 행복했던 모든 것들이 마치 얇은 종이들이 겹치는 것처럼 하나로 겹쳐 보입니다. 최선을 다해서 살아왔지만 여전히 부족함이 보이고, 이렇게 쌓여가는 저의 인생 자체가 낯설게 보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저에게는 인생 자체가 아직도 적응 중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두주 정도 전에 심하게 아팠습니다. 아마 미국에 와서 두번째로 심하게 아픈 듯 합니다. 최대한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 노력했지만, 지나친 스케쥴과 과로로 인해서 거의 이틀동안 누워만 있었습니다. 지나간 반년의 피로와 부담스러웠던 마음 때문인 것 같습니다. 한번 심하게 아픈 이후에는, 건강에 대해서 더 조심스럽습니다. 아직도 회복중이고 최고의 몸과 영적인 상태로는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서른 초반에는, 정말 위대한 목사가 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이제 생각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작은 인생에 자랑할 것도 없고, 그리고 자랑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자랑은 정말 아무런 가치가 없는 것입니다. 저에게 주신 가장 소중한 깨달음입니다. 오히려 가장 가치 있는 것은, 맡겨진 일에 성실하게 감당하는 것, 그것으로 족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감사하게 이제 나를 드러내는 필요 없는 말을 적게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남을 격려하는 말을 더 많이 하게 되었습니다. 

제 방에 가장 잘 보이는 곳에 볼티모어 교회 담임 목사 위임패와 위임 예배 기념 컵을 놓아 두었습니다. 항상 기억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제가 해야 하는 역할과, 제가 왜 이곳에 있는지를 기억하기 위해서입니다. 사람이기 때문에 흔들리고 헷갈리고 가끔은 엉뚱한 길을 걸어가지만, 그래도 제가 걸어가야 하는 길을 걸어가기 원합니다. 

볼티모어에서의 반년은 정말 바빴습니다. "어떻게 지내고 계시느냐"라는 짧은 질문에 다 답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 폭풍처럼 닥쳐오는 일들을 감당하고 또 그 안에서 성실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당연히 부족한 점이 많았지만 저의 한계를 넘기 위해서 많이 노력했습니다. 사랑하는 아내가 지혜롭게 저를 도와주고 조언해 주었습니다. 사랑스러운 아이들도 저에게 힘과 격려를 주었습니다. 그래서 그저 가족에게 감사할 따름입니다. 

최선을 다할 수 있는 환경을 허락하신 것이 하나님의 절대적인 은혜임을 계속 깨닫게 됩니다. 마치 몇년을 압축한 것 같은 반년이었지만, 그래도 여전히 저에게는 시작입니다. 하나님께서 매일 저에게 새로운 용기를 주시기를 기도합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주실 수 있는 그 용기입니다. 그리고 그저 믿음으로, 맡겨진 일을 감당하는데 최선을 다하기 원하고, 그 안에서 주인이신 하나님의 작은 기쁨이 되기 원합니다.

추천 글

로고스 프로그램으로, 평신도 성경 공부하기 with 스터디 바이블 노트 Study Bible Notes (2023년 9월 업데이트)

주의 말씀의 맛이  내게 어찌 그리 단지요  내 입에 꿀보다 더 다니이다 (시 119:103) 누구나 성경을 열심히 읽으라는 말은 듣습니다. 그리고 성경이 꿀보다 달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

리딩 크리스천 독서 묵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