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1월 29일 화요일

CFNI 다이어리 34 - Song Writing


이곳에서 얻은 유익을 손으로 꼽자면,
이미 헤아릴 수 없지만,
그 중에 특별히 Song Writing이 마음에 남는다.

이곳에 오기전에 이미 나는
CCM을 향한 많은 비판들을 알고 있었다.
얕은 가사와 반복되는 멜로디와 몇개 안되는 빈약한 코드
청중의 감정만을 자극하는 분위기 위주의 구성 등

이곳에서
아름다운 사람들의 주님을 향한 열심을 옆에서 지켜보면서,
나는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들이라도
그들이 주님을 사랑하고 경외한다면,
나 역시 그들을 존중하고 사랑해야함을
아주 조금은 배우게 된다.

곡의 가사를 어떻게 써야 하는가에 대한 조나단의 열심은 정말 대단하다.
강의 중에 언뜻 들은 한 단어 'polish'
(If you polish something, you put polish on it or rub it with a cloth to make it shine.
(콜린스 코빌드 사전))
그날 이 단어를 이렇게 쓴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여러분의 곡의 가사를 끊임 없이 polish 해야 합니다."

학생들이 자신들의 자작곡을 들고나와서 부를 때 마다,
비록 혹시 그 멜로디와 화음이 부족하더라도,
조나단은 늘 그 가사에 포커스를 맞춘다.
그리고 진심으로 고백하건데,
그 가사들 중 많은 부분이,
나의 혼신을 다한 설교문보다
문학적으로 성경적으로 뛰어나다.

이곳에서는 아주 적극적으로
쉬운 멜로디와 반복적인 음악적 갈고리(hook)를 사용하라고 가르친다.
물론 나는 이것에 다소 반대하는 입장에 서 있는 것이 분명하지만,
이것은 단순히 신학적인 논의를 넘어서서,
마치 클래식이 더 좋은 음악인가,
아니면 대중음악이 더 좋은 음악인가라는 논쟁과 비슷하다.

나는 클래식을 사랑한다.
일반적인 소양 수준에서 클래식을 듣고 사랑하며,
아내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를 갈망하며 존경하며,
클래식 칸타타를 통해서 진심으로 하나님을 만난다.
음악적인 수준에 있어서도 클래식이 월등하다고 인정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두가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음악적인 소양이 깊지 않아도 충분히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대중적인 찬양을 사랑하고 좋아한다.
그리고 바로 그 점에서 CFNI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러한 흐름이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가운데 있다고 믿으며,
시대가 우리에게 강요하는 단순화와 얕음에 저항하기를 원한다.

햄버거를 사먹으며
짧은 시간 마이클 잭슨의 뮤직비디오를 보면서,
진심으로 차가운 무서운 냉소 그리고 지옥의 정욕을 보았다.
성행위를 연상시키는 안무와, 사단의 집회를 연상시키는 무대 연출,
인간의 말초적 신경을 자극해 극단으로 밀어붙이는 구성등은
진심으로 나의 영혼을 얼어붙게 했고, 가슴을 냉랭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진심으로 무서웠다.

오늘 수업 시간에,
조나단이 2년 동안 polish하고 있는 노래를 들었다.
아직도 완성중이고 마음에 품고 있다고 한다.
내 안에 주님을 향한 노래가 있네. 라는 가사의 곡,
솔직히 너무 감동적이라 울컥해서 눈물이 났지만, 참았다.
혼자 울면 너무 민망하니까...

어쩌면 그 외형적인 모습은 동일할지 모른다.
열광, 감동, 감정, 흥분, 그 어떤 단어로 표현하든지 간에,
그 외형적인 모습은 같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하나님께 찬양하는 그 열정을,
어떤 이들은 그저 감정주의라 부를지 모른다.

그러나 나는 진심으로 감사한다.
하나님께서 내 지성 뿐만 아니라, 마음을 움직여 주심을,
내 감성이 지성을 부드럽게 녹여, 사랑의 고백을 주님께 할 수 있음을,
그분을 향한 찬양이 조나단의 마음 가운데 있고,
그 마음이 감성이 뜨거움이, 예술이라는 통로를 통해서 표출될 수 있음을,
악한 영적인 세력의 차갑고 죽음으로 이끄는 영향력이 아닌,
우리의 마음을 품으시고 보듬으시는 봄날의 햇살과 같은 성령님의 따뜻함 속에
우리가 있을 수 있다는 그 사실을,

그래서 나는
이곳을
사랑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추천 글

로고스 프로그램으로, 평신도 성경 공부하기 with 스터디 바이블 노트 Study Bible Notes (2023년 9월 업데이트)

주의 말씀의 맛이  내게 어찌 그리 단지요  내 입에 꿀보다 더 다니이다 (시 119:103) 누구나 성경을 열심히 읽으라는 말은 듣습니다. 그리고 성경이 꿀보다 달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

리딩 크리스천 독서 묵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