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18일 토요일

삶으로 드리는 찬양 (177) - 밤이나 낮이나

 

1. 가사 살펴보기

나의 소망 되신 주 주를 바라봅니다
다시 오실 나의 왕 예수
주를 기다립니다 

밤이나 낮이나 어제나 오늘도
영원히 주만 찬양해
괴롭고 슬플 때 낙망하여 넘어져도
언제나 주만 찬양하겠네

 

2. 곡 소개

곡은, 더데이 미니스트리 예베인도자인 레베카 황의 곡이다. 2015년도에 발매된 '밤이나 낮이나' 싱글 앨범에 수록된 곡이다. 이 곡은, 모든 순간에 오직 주님만 기다리고 모든 상황에서 오직 주님만 찬양하겠다는, 성도의 깊은 갈망을 아름답고 매력적인 멜로디에 담아낸 탁월한 곡이다.

 

3. 말씀으로 바라보기

시편 39:4 여호와여 나의 종말과 연한이 언제까지인지 알게 하사 내가 나의 연약함을 알게 하소서 39:4 "Show me, O LORD, my life's end and the number of my days; let me know how fleeting is my life. 39:7 주여 이제 내가 무엇을 바라리요 나의 소망은 주께 있나이다 39:7 "But now, Lord, what do I look for? My hope is in you.

시편 기자는 자신의 삶이 짧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달라고 간구했습니다. 그리고 이 요청은 그가 자신의 내면을 성찰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인간의 업적이 아무리 위대해 보여도, 역사 속에서 사라집니다. 하나님을 신뢰하는 자들은, 삶이라는 지상의 성취에 얽매이지 않아도 그 의미와 중요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Kevin R. Warstler, “Psalms,” in CSB Study Bible: Notes, ed. Edwin A. Blum and Trevin Wax (Nashville, TN: Holman Bible Publishers, 2017), 853. 

요한계시록 22:20 이것들을 증언하신 이가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속히 오리라 하시거늘 아멘 주 예수여 오시옵소서 22:20 He who testifies to these things says, "Yes, I am coming soon." Amen. Come, Lord Jesus. 

내가 속히 오리라는 것은 요한계시록에 세번째 등장하는 확언입니다. 세번이라는 이 형식은, 그리스도의 주장의 진실성과 확실성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주 예수여 오시옵소서라는 헬라어 문구는 아람어 표현인 마라나타와 동일합니다. 이것은 초대 교회에서 특히 로마 제국 하에서 박해를 받을 때에 간절한 호소였습니다.

John D. Barry et al., Faithlife Study Bible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12, 2016), Re 22:20.

시편 1:2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 1:2 But his delight is in the law of the LORD, and on his law he meditates day and night. 

주야라는 것은, 걷거나 서 있거나 앉아 있거나 자고 있는 모든 시간을 포함하는 것입니다.

New Living Translation Study Bible (Carol Stream, IL: Tyndale House Publishers, Inc., 2008), Ps 1:2.

시편 63:6 내가 나의 침상에서 주를 기억하며 새벽에 주의 말씀을 작은 소리로 읊조릴 때에 하오리니 63:6 On my bed I remember you; I think of you through the watches of the night. 

다윗은 침상에서 하나님께 그의 생각의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밤을 세 등분으로 나눕니다. 분명히 다윗은 잠을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그래서 그는 하나님을 예배하는데 그의 생각을 집중합니다.

Earl D. Radmacher, Ronald Barclay Allen, and H. Wayne House, The Nelson Study Bible: New King James Version (Nashville: T. Nelson Publishers, 1997), Ps 63:6.

시편 119:55 여호와여 내가 밤에 주의 이름을 기억하고 주의 법을 지켰나이다 119:55 In the night I remember your name, O LORD, and I will keep your law.

여기서 언급한 밤은 밤새도록 울 수 밖에 역경의 때를 암시할 수 있습니다. 고난의 밤 동안 그가 혼란스러울 때에도 그의 영적인 시력은 여전히 맑습니다. 그는 주님이 누구신지 알고 있으며, 주님이 말씀하신 것을 지키는 사람입니다.

Daniel J. Estes, Psalms 73–150, ed. E. Ray. Clendenen, vol. 13,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TN: B&H Publishing Group, 2019), 414.

 

4. 찬양에 대한 묵상

이 찬양은 성도의 중심에 무엇이 있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탁월한 찬양이다. 신앙이 깊어질 수록 우리가 깨닫는 것은, 인간의 생명 그리고 인간이 의지하는 모든 것들은 유한하다는 것이다. 그것이 아무 가치가 없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궁극적인 소망을 두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 찬양의 가사처럼, 나의 소망은 오직 주님 뿐이라고 고백하며 주님만을 바라보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십자가를 지시고 죽임 당하신 분이시다. 그러나 그분은 부활하시고 승천하셨으며 온 세상의 통치자로, 그리고 우리의 왕으로서 우리를 다스리시는 분이시다. 예수님께서는 친히 그분께서 반드시 다시 오신다고 말씀하셨다

우리는 우리의 사랑이신 그분을 진심으로 오늘도 기다리고 있는가? 그리고 그분께서 우리를 칭찬하시며 모든 아픔을 갚으실 그 날을 소망하고 있는가? 이 찬양을 부를 때에 우리 자신을 돌아보게 되며, 재림을 고대하는 성도의 그 아름다운 마음으로 다시 회복하게 된다.

밤과 낮이라는 것은 성경에서 종종 나온다. 놀랍게도 다윗은 주의 말씀을 낮과 밤으로 묵상하겠다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는 고난 속에서 긴 밤을 잠 못이룰 때에도 주님을 생각하며 말씀을 묵상한다. 그러므로 성도는 낮에만 주님을 의지하는 사람들이 아니다. 우리는 평생동안 주님을 의지하고 신뢰하며, 심지어 고통과 낙망 속에서도 주님만을 찬양하는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찬양은 성도에게 깊은 위로가 된다. 깊은 밤과 같은 고통 속에 있더라도, 이 찬양을 통해서 우리의 신앙이 회복되기를 원한다. 이 찬양을 부를 때 마다 새롭게 주님을 소망하며 평생동안 주님을 바라보고 기다리며 찬양하는 성도님들 되시기를 바란다.

* 삶으로 드리는 찬양 전체 묵상 모음
https://jungjinbu.blogspot.com/2022/06/1_30.html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추천 글

로고스 프로그램으로, 평신도 성경 공부하기 with 스터디 바이블 노트 Study Bible Notes (2023년 9월 업데이트)

주의 말씀의 맛이  내게 어찌 그리 단지요  내 입에 꿀보다 더 다니이다 (시 119:103) 누구나 성경을 열심히 읽으라는 말은 듣습니다. 그리고 성경이 꿀보다 달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

리딩 크리스천 독서 묵상